공공기관 개방형OS 사용…민간 시장까지 확대될까

정부가 행정·공공기관의 개방형운영체제(OS) 사용계획을 발표하면서, 국내 OS 생태계가 활황을 띨 수 있을지 주목된다. 국내 개방형OS 업계에서는 정부 시범사업을 계기로 민간 시장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최근 행정안전부(장관 진영)는 10월부터 행안부의 일부 인터넷PC에 개방형OS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나아가 행정기관에 단계적으로 개방형OS를 확산할 방침이다. 5년으로 지정된 PC 내구연한이 끝나는 2026년부터 행정기관에 개방형OS가 도입된다.

개방형OS는 특정기업에 종속된 MS윈도우와 달리 소스프로그램이 공개된 PC 운영프로그램이다. 국내 개방형OS로는 리눅스 기반의 구름OS, 하모니카OS, 티맥스OS가 있다.

정부가 그리는 행정기관 개방형OS 도입 청사진은 이렇다.  개방형OS를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도입한다는 계획이다. 민간 클라우드 기반의 가상 PC 환경에서 인터넷을 이용하는 가상데스크톱인프라(VDI) 형태로, 인터넷이 필요할 때 데이터센터에 접속해 원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관건은 개방형OS가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 영역까지 확산될 수 있을 지다. 업계에서는 이번 시범사업으로 국산OS가 민간 영역에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한 개방형OS 업계 관계자는 “국산 개방형OS가 공공을 시작으로 민간영역까지 확산되길 바란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국산 개방형OS의 기술 수준이 이전보다 고도화되고,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호환 등이 이뤄진 것도 민간 영역 진출을 위해서다. 개방형OS 3사인 티맥스에이앤씨, 한글과컴퓨터, 인베슘은 최근 공공뿐만 아니라 금융, 대기업 등 민간 영역에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시간이 걸리겠으나 제한적 업무 환경을 이용하는 민간에서의 개방형OS 수요가 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기존에 쓰고 있던 업무 환경에 개방형OS를 통합해달라는 요청이 꽤 있다”며 “몇몇 기업에서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용절감도 개방형OS를 도입할 경우 얻는 이점이다. 업계에 따르면, 평균적으로 개방형OS 사용 시 윈도우OS 사용 대비 50% 이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동시에 윈도우 종속 문제에서 탈피할 수 있다. 과거 윈도우XP부터 최근 윈도우7 기술지원 종료 사건처럼, 특정 기업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 업계와 정부 측의 설명이다.

최장혁 행안부 전자정부국장은 “개방형OS 도입을 통해 특정 업체의 종속을 해소하고 예산도 절감할 것”이라며 “개방형OS에 대한 정부수요가 관련 국내 기업의 시장참여와 기술투자의 기회가 되어, 민간 클라우드 시장 확대와 새로운 소프트웨어 생태계 조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일각에서는 기술지원,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호환 등을 문제 삼으며 개방형OS 확산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개방형OS 업계가 민간에 진출하기 위해 중요하게 봐야 할 대목이기도 하다.

업계 관계자는 “개방형OS의 기술지원,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호환 문제는 민간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넘어야 하는 산”이라고 비유하며 “국내 개방형OS 업체들이 많이 사용하는 윈도우 애플리케이션 호환을 상당부분 지원하고 있으나 아직까지 역부족”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개방형OS 업계 관계자는 “개방형OS를 사용할 경우, 아직까지는 대체 SW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관련 글

첫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