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세계 5G 장비 시장 1위’ 결과에 에릭슨엘지 “아직은 초기, SA 도입 때 기술경쟁력으로 판가름”

최근 네트워크 분야 시장분석업체로 유명한 델오로그룹이 내놓은 모바일 RAN(Radio Access Network) 분기 보고서에서 삼성전자의 작년 4분기, 올해 1분기 5G 장비 시장 점유율이  37%로 다른 경쟁사를 제치고 가장 앞섰다는 결과를 내놨다.

삼성전자에 이어 화웨이(28%), 에릭슨(27%), 노키아(8%)가 뒤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9일 삼성전자 미국 뉴스룸에 ‘삼성이 전세계 5G 네트워크 시장을 리드한다’ 는 제목으로 이같은 리포트 결과가 게재되면서 크게 알려졌다.

삼성전자가 세계 5G 통신장비 시장 1위에 오른 것은 발빠른 5G 상용화에 나선 국내 이동통신 3사를 비롯해 미국 통신사 버라이즌, AT&T, 스프린트와 공급계약을 체결하며 거둔 성과로 분석된다.

화웨이, 에릭슨이 아니라 삼성전자가 최선두에 선 결과는 단숨에 국내 관련업계에서는 이슈가 됐다. 미중 무역분쟁 영향으로 정보기술 분야 보호 비상조치로 미국의 화웨이 제재가 본격화되면서 전세계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나온 소식이어서 더 주목을 받았다.

30일 에릭슨엘지가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도 5G 장비 시장 점유율, 미국의 화웨이 퇴출과 각국으로 보이콧이 확산되는데 따른 반사이익 등 관련 질문이 쏟아졌다.

호칸 셀벨(Hakan Cervell) 최고경영자(CEO)는 먼저 “5G 장비 시장 점유율은 결정내리기 이르다”라면서 “에릭슨은 지난 10년간 5G 연구개발(R&D)에 투자해왔고 현재 전세계 곳곳에서 많은 계약을 체결하고 있어 여전히 좋은 위치에 있다. 시장조사를 통해 기지국이 설치된 수를 얘기하지만 중요한 것은 전세계 다양한 지역에서 5G 계약을 체결하고 있고 기술 리더라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술 측면에서나 계약이 많이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에릭슨은 삼성전자 보다 앞서 있다”라면서 “앞으로 삼성은 시장점유율을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질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권경인 에릭슨엘지 최고기술책임자(CTO) 역시 “1분기까지 결과로 5G 시장 점유율이 발표됐지만 초기 단계라 확정적 아니라고 믿고 있다”라면서 “한국이 대규모로 5G를 빠르게 구축했기 때문에 한국 기업이 ‘메이저 벤더’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NSA(Non-Standalone) 시장 판도는 아직 정해진 것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권 CTO는 “에릭슨은 이 분야 선두로 시장점유율 면에서도 앞으로 점점 나아질 것”이라면서 “SA(Standalone) 밀리미터웨이브(mmWave) 장비가 도입될 때 기술 리더 입지가 더 높아질 것이기 때문에 시장 확대에 성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에릭슨은 180개국 이상에 네트워크 장비를 공급하고 있는 글로벌 업체이자 전통적으로 이동통신 장비 시장에서 기술리더십을 가진 선두기업으로, 5G 기술에도 오랜기간 적극 투자해온만큼 향후 시장을 이끌어가는데 강점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셀벨 CEO에 따르면, 에릭슨은 전세계 매출의 50% 이상을 R&D에 쏟고 있다. 전세계 곳곳은 물론 한국에도 R&D 인력 500명을 두고 있다.

또 계약 측면에서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에릭슨은 현재까지 18개 통신사와 5G 통신장비 공급계약을 체결했다. 상용화가 이뤄진 한국 KT와 SK텔레콤을 비롯해 미국 버라이즌과 AT&T, 유럽의 스위스콤, 호주의 텔스트라 등이다. 그밖에도 T모바일, 스프린트, 보다폰 영국, STC 등과도 계약을 맺고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화웨이 이슈와 미중 무역분쟁 관련 입장을 묻는 질문에 셀벨 CEO는 “각국 정부가 결정하는 사안에 대해 이야기하기 어렵다”고 말하고 “화웨이와 에릭슨은 전세계에서 매우 큰 경쟁구도를 형성하고 있지만 좋은 경쟁자로, 우리는 보다 앞서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경쟁사를 존중한다. 경쟁사가 한국·중국·핀란드 기업인지는 중요치 않다”며 “경쟁사를 존중해야 우리가 더 발전할 수 있다. 자사 제품과 솔루션, 기술로 경쟁사보다 낫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했다.

에릭슨의 제조 공장이 중국에 위치해 있다는 점에서 미중 무역전쟁에 자유롭지 않다는 질문에 대해선 “현재로서는 정확한 예측은 어렵다”라면서 “중국뿐 아니라 미국, 캐나다, 한국에서도 R&D가 추진되고 있다. 제조 역시 중국 공장에서 하고 있지만 에스토니아, 멕시코 등에도 큰 공장이 있다. 문제가 된다면 제조공장이 있는 중국 외 다른 지역에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에릭슨엘지는 국내에서 전개될 5G 구축 전망도 내놨다. 현재 상용화돼 있는 3.5Hz 대역 중심의 네트워크 장비 구축이 올해 말까지 84개 도시로 확산되고, 내년부터는 전국망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작업이 본격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말부터 시작해 내년 1분기부터 핫스팟 지역을 중심으로 28GHz 대역 장비 설치가 이뤄지면서 5G 네트워크가 본격 진화해나갈 것이란 전망이다. 또 내년부터 본격적인 SA 방식 구축이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권 CTO는 “에릭슨이 5G 구축해 참여한 미국, 유럽, 호주 지역 사업자 중 6곳이 상용화했지만 현재까지 한국을 능가하는 규모는 없다”라면서 “당초 예상보다 일정을 앞당겨 세계 최초 상용화가 가능했던 기술요건은 NSA를 사용해 LTE 기술로 커버리지를 구성했기 때문으로, 장기적으로 SA로 발전해나가야 한다. 이 작업은 올 하반기부터 기술 트라이얼이 진행돼 내년 적정시기부터 본격 진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에릭슨엘지는 5G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LTE-NR 스펙트럼 쉐어링’과 ‘mmWave’ 기술, 인빌딩 닷(dot) 기술과 솔루션에 차별화된 경쟁력이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관련기사> 5G를 보는 오해…“5G 혜택은 단기간에, 프리미엄 요금 수용도 가능”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