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혁신은 애플워치 4세대, 시리즈 4다
아이폰Xs의 독무대가 될 것으로 예상됐던 애플 키노트에 첫 주자로 애플워치 4세대(Series 4)가 나왔다. 핵심 기능은 헬스케어와 응급지원, 심장박동 체커다.
더 커진 스크린, 워치페이스 UI 리디자인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스크린 크기다. 기존 제품보다 35%/32% 커져 40mm, 44mm 두 가지로 출시된다. 기존 제품은 38mm/42mm였다. 베젤도 기존 제품보다는 줄어들었다. 컬러는 블랙과 실버 외에도 골드가 추가된다.
이 커진 화면으로는 더 많은 정보를 표기한다. 기존 디지털시계 혹은 아날로그시계 모양이었던 워치페이스 공간을 잘게 쪼개 시침과 분침 사이에 각종 정보를 포함한다. 주식 정보, 날씨, 일정, 칼로리 소모, 사진을 활용한 전화 바로 가기 등을 탑재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심호흡을 위해 디자인된 들숨과 날숨 시각화 기능도 있다. 들숨과 날숨(호흡)을 쉬는 모습을 연기, 물, 불 등으로 시각화한다. 파이어 페이스, 워터 페이스, 베이퍼 페이스(Vapor Face) 등으로 부른다.
하드웨어의 매력
하드웨어가 거대한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진 것이 매력이다. 아이폰이 A12 칩에 여러 부품이 달려 있는 모양이라면, S4 칩 속에 모든 모듈이 들어있는 것이 애플워치 시리즈 4의 구성이다. 시스템 온 칩(SoC)처럼 시스템 인 패키지(System in Package, SiP)라고 부른다.
성능으로는 듀얼코어 64비트 프로세서를 사용했고, 최대 두 배의 속도를 내며,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 성능을 업그레이드했다. 심박을 체크하는 광학 센서 부분은 블랙 세라믹과 사파이어 크리스털을 사용한다.
디지털 크라운 역시 재정비됐다. 기존과 유사한 모양이나 햅틱 피드백이 생겼다. 돌리거나 누를 때 진동으로 피드백을 준다는 의미다.
응급 상황 추적
이러한 하드웨어의 성능을 십분 발휘한 기능이 몇 가지 있다. 대표적인 것이 추락 감지다. 누울 때와 앉을 때 등과 달리 추락은 빠르게 수직으로 이뤄진다. 이를 가속도 센서와 자이로 센서가 파악하는 것이다. 이후 몇 분 동안 워치에 피드백을 주지 않으면 자동으로 응급 상황이라고 신고를 한다. 이러한 기능은 심박 수로도 자동 실행되게 설정할 수 있다. 심장박동 체크가 업그레이드돼 심장이 지나치게 빠르거나 느리게 뛰는 것을 감지해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응급신고를 하는 기능이다. 이외에도 자연재해 등에 고립됐을 때 신고하는 기능도 있다.
심장 박동 그래프 지원
흔히 병원에서 볼 수 있는 심장박동을 파동 그래프로 표현하는 ECG(ElectroCardiogram)을 지원한다. FDA 승인도 이미 받은 상태다. 이 사실이 중요한 이유는 원래 ECG는 병원에 가서 체크하거나 전용 장비를 부착해야만 체크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전 애플워치에서 ECG를 체크하려면 전용 시곗줄을 사용해야 했다. 그렇다 해도 이 결과를 다 믿을 수는 없었으나 FDA 승인으로 일종의 신뢰성이 생긴 셈이다. 빈혈이나 심장 문제 등 질병이 있는 이들에게 큰 희소식이다. 이 데이터는 PDF로 취합돼 의사에게 제공할 수 있다.
가격 및 출시일
일반 버전은 $399부터 시작하며 셀룰러 버전은 $499부터 시작한다. 시리즈 3는 $279로 가격을 내렸다. 미국에서는 9월 21일 출시되며 한국 출시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
총평
아이폰들과는 다르게 애플은 심장박동을 체크하는 애플 워치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느낌이다. 가속도와 자이로 센서로 추락을 감지하거나, ECG를 탑재하는 등의 행동은, 기술이 인간을 어떻게 도와줘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종철 기자> jude@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