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테이블 코인 시대에도 카드사 존재감 유지할 것”
“스테이블 코인 시대에도 카드사는 절대 사라지지 않을 겁니다. 블록체인에서도 크레딧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새로운 기술을 단순히 기존 서비스를 대체하는 것만으로 생각하니 다음 단계가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이종섭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는 사단법인 도전과나눔이 24일 서울 역삼 GS타워 아모리스홀에서 개최한 기업가 정신 포럼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 교수는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준비금 범위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체크카드(직불카드)와 같은 구조”라며 “이 직불카드 영역만을 다루는 시점이 국내 카드사들에게는 골든 타임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블록체인은 공개형 구조로 설계돼 누구나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며 “지갑에 라벨링을 적용하고 이용자의 거래 흐름을 데이터화하면, 기존 신용평가와 유사한 ‘트랜스코어링(trans-scoring)’ 사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스테이블 코인이 단순한 지급 결제에 그치지 않고, 블록체인 기반 금융 서비스의 핵심 요소로 확장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디지털화된 금융 상품은 가장 빠르게 확산될 수 있는 분야로 여겨진다.
이 교수는 “미국은 2000년대 이후 인터넷과 플랫폼 사업자를 통해 큰 가치를 창출해 왔다”고 밝혔다. 특히 “플랫폼 기업이 실물 거래와 디지털 콘텐츠 소비를 연결했듯, 서클 등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도 금융과 인터넷을 결합해 플랫폼화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이금룡 도전과나눔 이사장이 모더레이터를 맡아 스테이블 코인에 많은 국내 기업이 뛰어드는 상황과 수익화 전략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국내 사업자들은 달러 스테이블 코인과 관련한 기업들의 모습을 벤치마킹하고 있다”며 “새로운 블록체인, 스테이블 코인 인프라는 기존 경쟁 구도보다는 각자의 강점을 살려 협력하고 분업하는 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들은 이미 광범위하고 안정적인 국내 결제망을 갖추고 있다”며 “블록체인에서 달러가 돌아가는 구조를 만들어내는 주체는 은행과 핀테크로 각자가 맡아야 할 역할이 다를 것”이라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