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 맞손

삼성전자가 10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에너지 기술을 공동 개발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은 삼성전자가 지난해 9월 발표한 ‘신(新)환경경영전략’ 실천의 일환이다. 삼성전자는 기후위기 대응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에 재생에너지 관련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인식했다. 이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재생에너지 통합 솔루션 개발에 협력하고, 상호 지속가능한 목표 달성에 기여하기로 했다.

왼쪽부터 삼성전자 글로벌 EHS센터 이봉재 프로, 양경모 랩장, 김경진 부사장,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종남 원장, 곽지혜 소장, 김종규 책임 연구원. (사진=삼성전자)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다양한 에너지원을 혼합해 사용하는 에너지 믹스 기술을 개발하고 재생 에너지 통합 솔루션을 구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회사는 태양광 발전을 비롯한 재생 전기 에너지뿐만 아니라 태양열, 지열, 수열, 폐열과 같은 재생 열에너지도 활용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사업장의 소비 에너지 중 20~40%는 열로 소비된다. 때문에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가 유기적으로 운영돼야 전력 수급 균형과 공급 유연성이 좋아지고, 사업장 전체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삼성전자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에너지원 혹은 시스템 사이를 조화롭게 연결시키는 ‘섹터 커플링’ 기술을 도입해 재생에너지 활용 효율을 개선하는 에너지 믹스 시스템 연구를 진행하기로 했다. 섹터 커플링 기술이란 일정하게 출력이 유지되지 않는 재생에너지를 다른 에너지 시스템과 연계해 변환하고, 저장 및 활용해 전체 효율을 높이는 에너지 통합관리 기술을 말한다.

사업장 건물 용도, 규모, 배치 및 에너지 시스템의 구성, 용량, 효율을 고려한 사업장 단위의 에너지 믹스 시스템도 연구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사업장 맞춤형 재생에너지 통합 솔루션을 구현해 탄소중립에 기여하고, 국내외 자사 사업장을 넘어 장기적으로 협력회사 사업장까지 확장할 계획이다.

김경진 삼성전자 글로벌 EHS 센터장 부사장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의 이번 협약으로 사업장별 특성에 맞는 고효율 재생에너지 통합 시스템 설계 능력을 확보할 것을 기대한다”며 “발전량 확대, 에너지 효율 개선 및 관련 기술을 개발해 기후 위기 극복에 이바지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세트사업(DX) 부문 탄소중립을 2030년에 달성하고, 반도체사업(DS) 부문을 포함한 전사는 2050년 조기 달성이 목표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배유미 기자>youme@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