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Q테크놀로지, 매쿼리대와 중성원자 컴퓨팅 기반 양자 오류 수정 연구 발표
미국 물리학회 국제 학술지 게재, 양자 보안·암호 분야 실증 가능성 제시
글로벌 양자 보안 기업 BTQ테크놀로지는 호주 매쿼리대학교와 공동 수행한 ‘중성원자 컴퓨팅을 활용한 양자 오류 수정’ 연구 결과가 미국 물리학회(APS) 산하 국제 학술지 ‘피지컬 리뷰 리서치’에 게재됐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논문은 BTQ 테크놀로지의 최고양자책임자(CQO) 개빈 브렌넨 교수가 주도했으며, 양자컴퓨팅의 대규모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큐비트 이동 없는 오류 검증 방식’을 실험적으로 제시했다.
연구팀은 고성능 양자 저밀도 패리티 검사(qLDPC) 코드 기반 실험을 통해, 큐비트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다수의 큐비트 오류를 동시에 검증할 수 있음을 입증했다. 이를 통해 제어 복잡성을 낮추고 시스템 확장성을 높이는 양자컴퓨팅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또한 연구는 중성원자 플랫폼을 활용한 ‘결함 허용형 양자 컴퓨팅’의 실현 가능성을 제시했다. 양자 얽힘 상태를 이용해 큐비트 제어 과정을 단순화함으로써, 복잡한 하드웨어 없이도 안정적인 오류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받았다.
이번 연구의 의의는 이론적 제안에 머물지 않고, 실제 연구소 수준의 장비에서도 구현 가능한 실용적 방법론을 제시한 데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BTQ테크놀로지는 회사가 추진 중인 ‘중성원자 기반 양자컴퓨팅 로드맵’과도 맞물려 있으며, 향후 양자 통신·암호 등 보안 분야 응용으로의 확장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향후 결함 허용형 양자 컴퓨팅 프로토타입 개발의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BTQ 테크놀로지와 매쿼리대 연구진은 이번 결과를 토대로 시뮬레이션 및 하드웨어 설계 단계로 연구를 확대하고, 양자 보안 네트워크 및 양자내성암호(PQC) 기술과의 융합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영석 BTQ테크놀로지 최고보안책임자(CSO)는 “이번 연구는 중성원자 기반 구조를 통해 양자 시스템 제어의 복잡성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줬다”며 “BTQ는 학계와 산업계 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양자 보안 인프라 구현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곽중희 기자> god8889@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