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바바클라우드 “기업 절반, AI의 지속가능성 기여 방법 잘 몰라”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기술 기반 지속 가능성 트렌드 및 지수 2024(Tech-Driven Sustainability Trends and Index 2024)’ 보고서에서 아시아, 유럽, 중동 지역 기업의 76%가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을 지속가능성을 촉진할 핵심 기술로 인식하고 있다고 10일 발표했다.
설문 참여 기업의 61%는 에너지 소비가 주요 도입 장애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점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비롯한 디지털 기술이 지속가능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였다. 신흥 아시아 시장(83%)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중동(78%), 유럽(74%)과 선진 아시아 시장(72%)이 그 뒤를 이었다. 특히 필리핀(91%), 싱가포르(84%), 인도네시아(81%) 및 태국(81%)은 디지털 기술의 지속가능성 기여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다. 반면에 한국 기업은 51%만이 AI와 클라우드 컴퓨팅 등 디지털 기술이 지속가능성에 미칠 영향에 주목, 상대적으로 낮은 관심도를 보였다.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이 지속가능성을 앞당길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지만, 기업의 59%는 여전히 디지털 기술이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특히 아시아(63%)가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유럽(61%)과 중동(45%)이 그 뒤를 이었다.
약 3분의 2에 달하는 경영진 (62%)은 자사 조직이 클라우드 컴퓨팅과 AI 도입을 통해 지속가능성 목표를 달성하는 부면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우려는 싱가포르(80%), 필리핀(77%), 일본(75%), 홍콩(75%)에서 특히 두드러졌다. 한국 기업 경영진의 경우 41%만 같은 문제를 지적하며 AI·클라우드 도입 속도에 대한 우려가 비교적 적음을 나타냈다.
기업의 82%가 기술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최우선 과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싱가포르(93%), 필리핀(91%), 인도네시아(89%)가 가장 높은 관심을 보이며, 디지털 기술 도입이 비용 절감, 운영 효율성 향상, ESG 규제 준수 강화 등 실질적인 비즈니스 이점을 제공한다고 평가했다. 한국 기업 또한 57%가 지속가능한 기술 발전을 핵심 과제로 꼽았다.
여러 기술 중 AI와 머신러닝이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앞당길 가장 중요한 디지털 기술로 평가되며, 특히 중동(52%)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고, 유럽(41%), 신흥 아시아 시장(40%), 선진 아시아 시장(36%)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81%는 AI를 포함한 디지털 기술 개발에 있어 사람의 관리 감독이 필수적이라고 응답했으며, 이 같은 인식은 중동(91%)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고, 신흥 아시아 시장(83%), 유럽(82%), 선진 아시아 시장(74%) 순으로 높았다.
설문 참여 기업의 61%는 높은 에너지 소비가 AI 도입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싱가포르(85%), 필리핀(77%), 홍콩(75%)에서 이러한 우려가 두드러졌으며, 한국에서 43%가 같은 의견을 보였다. 71%는 AI 운영에 따른 막대한 에너지 소비가 그 이점을 초과할 수 있다고 답했으며, 이런 우려는 싱가포르(86%), 필리핀(84%), 말레이시아(81%)에서 가장 높았다. 한국 기업의 50%도 이에 동의하며, AI 도입과 에너지 소비 간 균형이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보고서는 지속가능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술 공급업체 선택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친환경 클라우드 제공업체 선정과 관련해 기업의 51%는 재생에너지를 활용하는 업체를, 46%는 에너지 효율적인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 업체를, 42%는 탄소 배출 저감 이니셔티브를 실천하는 업체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자사의 그린 클라우드 관련 노력 및 활동을 통해 지속가능성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2024년 3월 31일 종료된2023 회계연도(FY2023) 기준,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자체 데이터센터의 평균 전력사용효율(PUE)을 1.215에서 1.200으로 개선하며 에너지 효율성을 한층 높였으며, 소비 전력의 56%를 청정에너지로 전환했다. 그린 컴퓨팅 인프라를 통해 고객들의 탄소 배출을 약 9.884만 톤 감축, 전년 대비 절감 효과가 44% 증가하는 성과를 달성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오픈소스 이니셔티브를 선도하며 AI의 접근성을 확대, 기업들이 고급 AI 기술을 더욱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자체 LLM Qwen(큐원) 패밀리의 최신 모델인 큐원2.5-VL, 큐원2.5-1M 및 영상 생성 기반 모델 ‘통이완샹(Wan)’을 공개, 개발자들이 특정 작업에 최적화된 AI 애플리케이션을 효과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각 오픈소스 모델은 허깅페이스 커뮤니티에서 10만 개 이상의 파생 모델을 탄생시키며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채택률을 기록, AI 기술의 확산을 가속화하고 있다. 소규모 파라미터 모델을 적극 장려해 AI 훈련 및 배포에 따른 비용과 에너지 소비를 절감, 지속가능한 AI 혁신을 촉진하고 있다.
셀리나 위안 알리바바 클라우드 인텔리전스 글로벌 사업 부문 회장은 “13개 시장의 의사결정권자들이 참여한 ‘기술 기반 지속가능성 트렌드 및 지수 2024’ 보고서는 기업들이 지속가능성을 위한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과정에서 직면하는 주요 인식과 과제를 조명한다”며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기업들이 지속가능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하고 지속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2030년까지 100% 청정에너지 사용을 목표로, 글로벌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고, LLM을 비롯한 생성형 AI의 성능을 최적화해 AI가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에너지 소비를 절감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전 세계 13개 시장, 1300명의 의사결정권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기술 기반 지속가능성 트렌드 및 지수 2024’ 보고서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전략에 대한 핵심 인사이트를 제시한다. 이 보고서는 AI 및 클라우드 컴퓨팅이 지속가능성 실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기업들이 에너지 소비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성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보다 책임감 있는 기술 도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기술 기반 지속 가능성 트렌드 및 지수 2024’ 보고서는 영국 컨설팅 업체 욘더 컨설팅이 독립적으로 수행했다. 지속 가능성 컨설팅 회사인 더 퍼포스 비즈니스가 자문, 디자인 및 분석 지원을 제공했다. 설문조사는 2024년 5월 10일부터 6월 19일까지 진행됐으며, 기술 및 통신, 금융, 인프라, 재생 자원, 의료, 교통, 소매, 제조업 등 다양한 산업군의 기업에 종사하는 1300명의 비즈니스 리더와 고위 관리자의 의견을 수렴했다.
아시아(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 홍콩 특별행정구, 일본, 싱가포르, 한국), 유럽(프랑스, 독일, 영국), 중동(사우디아라비아, UAE) 등 13개 시장에서 진행됐다. 조사에서 언급된 선진 아시아 시장은 홍콩 특별행정구, 일본, 싱가포르, 한국을 포함하며, 신흥 아시아 시장에는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필리핀, 태국이 포함됐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김우용 기자>yong2@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