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잉스퀘어, 브랜드 홀세일 플랫폼 ‘카탈로그 샵’ 출시…“K패션·뷰티 브랜드 글로벌 진출 지원”
브랜드 홀세일 컨버전스 기업 바잉스퀘어는 글로벌 브랜드 도매 관리 플랫폼 ‘카탈로그 샵’을 출시했다고 5일 밝혔다.
카탈로그 샵은 브랜드 상품의 B2B 거래를 B2C처럼 할 수 있도록 구현한 플랫폼이다. AI 기술을 접목해 복잡한 홀세일 상품 데이터를 카탈로그 형식으로 정형화했다.
바잉스퀘어는 카탈로그 샵이 홀세일 과정의 비효율을 없애 공급사와 바이어 양측 모두에게 색다른 홀세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카탈로그 샵은 라인시트 속 상품 원천 데이터를 정형화하는 AI 기술을 통해 브랜드별로 상품 카탈로그를 구축한다.
현재까지의 브랜드 홀세일 과정은 브랜드 및 공급사에서 엑셀, PDF, 이미지 파일 등 각기 다른 형식으로 된 라인시트(주문 가능 상품 목록)를 바이어에게 제공하면, 바이어들이 여러 라인시트를 비교분석하고 브랜드와 공급사에서 제시하는 오더 룰(거래 성사 충족 조건)을 계산해 다시 이메일 혹은 메신저로 주문을 넣는 식이다.
반면 카탈로그 샵을 이용하는 바이어는 현재 주문 가능한 상품을 브랜드 카탈로그에서 바로 확인하고 장바구니에 담아 즉시 주문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는 게 바잉스퀘어 측의 설명이다.
또한, 바잉스퀘어는 공급사에서 제시하는 오더 룰이 자동으로 적용되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주문-정산-CS-재고 관리-배송 등 B2B 유통 전 과정에서 상품 단위별로 데이터를 트래킹할 수 있는 기능도 개발하고 있다.
바잉스퀘어는 카탈로그 샵과 해외 법인을 통해 구축한 글로벌 공급사 네트워크를 연결해 K-패션 및 K-뷰티 브랜드의 해외 진출 지원에도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카탈로그 샵에 입점한 K-브랜드는 바잉스퀘어의 177곳의 다국적 공급사 네트워크에 자사 상품을 노출할 수 있다.
바잉스퀘어는 플랫폼 입점과 더불어 현지 백화점, 아울렛, 박람회 등 국가별 오프라인 채널 진출도 함께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통해 오프라인 구매 수요를 카탈로그 샵과 연결함으로써 홀세일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진정한 글로벌 옴니 채널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바잉스퀘어 최정현 대표는 “현지 오프라인 채널 진출과 동시에 혁신적인 온라인 홀세일 경험을 선사하는 카탈로그 샵에 대한 K-브랜드의 입점 문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국내 브랜드는 현지 법인 설립 없이도 빠르게 해외 바이어들과 거래를 시작할 수 있으며, 브랜드 고유의 본질에 집중하면서도 사업을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