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스타트업 기사는 늘었는데, 창업 기업 수는 왜 그대로일까?”
지역 활성화는 역대 정부가 지속 도모해왔던 일이다. 수도권 외 지역을 살리기 위해 창업을 유도하는 정책도 꾸준히 펼치고 있다. 2015년에는 광역시도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설립됐다.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는 계기였다. 그런데, 지금 진짜로 지역이, 지역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활성화 되었나? 여전히 수도권과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의 격차는 크다.
이와 같은 내용을 조망하기 위한 보고서를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최근 발간했다. 뉴스에서 지역 창업 생태계를 얼마나 다뤘는지를 확인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심 만큼 지역 창업 생태계가 활성화되지는 못했다는 점을 지적한다. 이 이야기를 스타트업얼라이언스가 꺼낸 데는 “앞으로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의 조성과 발전을 위해 지속해야 할 담론은 무엇이며, 새롭게 논의를 시작하고 집중해야 할 부분은 무엇인지 파악”하려는 의도가 있다.
보고서는 온라인 플랫폼에서 서비스되는 뉴스 기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를 키워드로 포함한 뉴스인데, 각 지역에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설립되기 시작한 2015년 1월부터 2023년 말일까지의 기사를 분석했다. 총 1만8474건이다.
결과는 어땠을까? 수치만 놓고 보면 관심은 크게 증가했다.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관련 뉴스 기사는 2015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였는데, “2015년부터 2023년까지 뉴스 기사량의 연평균 증가율은 22.2%였으며, 2023 년에 특히 기사량이 급증”했다.
2023년엔 무슨 일이 있었는가.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돈이 풀렸다. 정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8월,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벤처·스타트업이 디지털 경제를 선도하는 글로벌 창업대국을 실현한다는 비전을 선포했으며, ‘지역창업 클러스터 활성화 및 지역 벤처투자 환경 보완’을 핵심전략에 포함”했다. 중요한 것은, “정책과 예산이 마련됨에 따라 관계부처, 지자체, 창업지원기관 등에서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와 관련한 사업을 진행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지원 예산과 관심이 늘었음에도 실질적인 성과여야 할 ‘지역 창업’의 사례는 증가하지 않았다. 놀랍게도 “수도권 외 지역 창업 기업 수는 연평균 성장율이 0%에 수렴하는 상황”이다.
어떻게 이런 상황이 벌어졌을까? 그래서 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뉴스를 다시 들여다봤다.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 뉴스 기사에 등장하는 키워드를 빈도에 따라 개별적으로 추출해보니 주로 “지원, 투자, 혁신, 성장, 조성, 글로벌, 육성, AI, 경제, 협력, 프로그램, 정부, 유치 순”으로 나왔다. 즉, “상위 빈도를 차지하는 키워드가 대부분 스타트업 생태계의 트렌드보다는 공공 주도의 상황을 표현하는 용어인 경향”이 있다는 걸 유추했다.
보고서 발간을 주도한 이지영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전문위원은 “결과적으로 그동안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사회적 논의나 지원사업이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왔다는 사실을 뉴스 기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또, “지원이 늘어나면 창업 기업의 수도 늘어나야 하는데 늘 같은 수준을 유지하는 것은, 그동안의 지원이 지역의 펀더멘탈을 다지고 생태계를 유지하는 데는 도움이 됐을지 몰라도 (창업 활성화로 인한 경제 활성화와 같은) 원하는 만큼의 효과는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
궁극적으로 수도권 외 지역의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 하기 위한 핵심으로는 “중앙정부의 지원 없이 지속 될 수 있는 자생력”을 꼽았다. “지난 8년간 중앙정부로부터 지역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많은 관심과 지원이 이어진 점은 긍정적”이라고 보면서도, “그동안의 관심과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 혹은 민간 주도로 자생적인 선순환 구조를 갖추는데 집중해야 한다”고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했다.
이지영 전문위원은 “지역별로 환경이나 인프라 차이가 굉장히 크기 때문에 각 지역에 맞는 (창업 활성화) 방법을 생각해내고 추진할 수 있는 주체는 지자체나 지역의 민간기업일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앙의 예산이 지역에 내려와야겠지만, (집행의) 방향성과 내용을 결정하는 것은 지역이 주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권한이 주어지면) 더욱 효과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