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몬·위메프의 사업 정상화 관건 : 8월 말까지 투자자 찾을까

티몬 류광진 대표와 위메프 류화현 대표가 13일 오후 서울회생법원에서 열린 ‘회생절차 협의회’ 이후 기자들과 만나 8월 말까지 사업 정상화를 위한 투자를 유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협의회에는 티메프 경영진과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카카오페이 등 채권단과 신정권 티메프피해판매자비상대책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한 시간 반 가량 자구계획안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핵심은 투자 유치를 통한 자금 수혈인데, 아직 투자 유치 계획은 명확하지 않다고 티메프 경영진은 답했다.

티몬과 위메프 양사는 자구안에 소액 채권자 우선 변제 계획과 정산시스템 개편을 통한 정상화 방안을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먼저 채권단 중 200만원 이하의 소액 채권에 대해 우선 변제한다는 방침이다. 미정산 파트너에게 공통으로 일정금액을 변제해 채권상환 완료 효과를 낸다는 안도 포함됐다. 현재 위메프의 채권자는 6만6000명, 티몬은 4만6000명이다.

또 정산시스템 개편에 대해서는 에스크로 계좌 도입, 커머스 업계에서는 가장 빠른 수준인 ‘배송 완료 후 +1일’ 정산 및 선정산 등 계획을 담았다. 이외에도 인력 구조조정과 임차료 등 경비 절감 등으로 정상화를 도모한다.

류화현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의 대화에서 “소상공인을 변제하기 위한 필요비용은 저희 장표에 담겨 있지만 250억원 전후다”며 “100만 채권자에게 상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소액채권 우선 변제 방안에 대해 티메프 경영진과 채권단의 의견이 갈렸다고 류화현 대표는 설명했다. 채권자들이 실제로 원하는 방안이 아니라 투자 유치가 우선이라는 채권단의 의견을 받아 제안을 정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협의회에 참석한 판매자 비상대책위원회 신정권 대표 또한 소액채권 우선변제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했따. 그는 “소액채권을 변제하는 것은 채권자 수를 줄이는 효과이자, 회사를 위한 방침으로 보였다”고 말했다.

문제는 투자 유치다. 티메프 각사가 사업 정상화를 위해 필요한 자금으로 각기 1000억원 내외 최소 2000억원이 필요하다고 밝힌 가운데, 이번 자구안에서 구체적인 투자 유치 계획이 담기지 않았다.

류화현 대표는 구조조정 펀드 투자 이후 3년 내로 매각하는 방안이 여전히 유효하다고 밝혔다. 류 대표는 “한국 이커머스 내에서 자리 잡는 플랫폼이 된다면 가능하다”며 “채권단에서 준 의견에는 이커머스가 상장 모델이 수익 극대화가 아니냐고 물었는데 상장도 고려하지만, 3년 내로 매각하는 방안도 함께 보고 있다”고 말했다.

양사는 구조조정펀드 등을 통해 8월 말까지 투자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다만 현재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상황에서 티메프에 대한 구원투수가 나타날지에 대해서 업계에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보내고 있다.

신정권 위원장은 이날 투자 유치가 최선의 방안임을 재차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투자유치가 우선이다”며, “정상화는 그 다음이나 구체적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티메프는 큐텐 등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은 출자 후 무상감자한다는 방침이다. 위메프는 300~400억원 규모, 티몬은 6월 말 기준 2000억원 수준으로 파악된다.

한편, 2차 협의회는 오는 30일 오후 3시에 열린다. 류화현 대표는 “그때까지 LOI(투자의향서)나 LOC(투자확약서)를 확보해 법원에서 이후 절차에 대해 빠르게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컨퍼런스] AI 에이전트와 지능형 인터페이스 시대

◎ 일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12:30 ~
◎ 장소 :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ST Center (과학기술컨벤션센터) 지하 1층 대회의실 2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