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머스BN] 할인은 더 이상 답이 아니다 (feat. 티메프의 패착)

티몬과 위메프(이하 티메프) 미정산 사태가 터지면서, 이커머스 입점 셀러들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수익을 위해 최대한 많은 플랫폼에 입점했지만, 이번 미정산 사태로 ‘안전’한 플랫폼에 대한 욕구가 커졌습니다. 이제는 어디를 선택해야 하느냐는 문제입니다.

또 하나 볼 문제가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티메프의 긴 정산 주기가 문제 촉발 배경이라고 말합니다만, 의견이 엇갈립니다. 긴 정산 주기가 그리 문제는 아니라는 거죠. 티메프의 체력 부진과 경영 실패가 문제의 중심에 있다는 지적이 이어집니다. 정산주기 단축 논의 이전에 티메프를 포함한 이커머스 플랫폼의 현 상황을 먼저 짚고 갑니다.

 

“긴 정산 주기는 업계의 오래된 관행이다”, 티메프가 감당하지 못했을 뿐…

지난 30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긴급 현안질의에서 긴 정산 주기의 문제를 짚는 질문에 구영배 큐텐 대표는 “업계 관행”이라고 답했는데요.

구영배 큐텐 대표의 말이 틀리지는 않습니다. 판매 대금을 오랜 기간 가지고 있었던 것은 이커머스 태동기부터 있었던 일이니까요.

긴 정산 대금 주기는 오랜 기간 업계의 호흡기가되어 왔습니다. 이커머스 태동기에 있었던 플랫폼들을 포함해 2010년대 등장한 소셜 커머스 플랫폼들까지, 다수의 이커머스들은 판매 대금을 이용해 수익을 내고자 했습니다.

특히 소셜 커머스가 정산 주기를 길게 가져 간 것은 주력 카테고리 탓도 있었습니다. 초기에는 음식점 쿠폰 등을 주로 판매했던 탓에, 소비자가 해당 쿠폰을 이용한 후에야 대금을 받았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설명입니다.

 

소셜 커머스는 처음 시작할 때 음식권 상품권 등을 팔았습니다. 소비자가 상품을 써야지 정산이 되는 구조거든요. 그렇다보니 처음부터 정산 주기를 대략 한 달에서 두 달 정도 하자고 시작한 게 고착화돼 지금까지 유지된 것도 있습니다.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

돈이 없는 플랫폼 입장에서 판매 대금의 정산 주기를 늘려 기업의 현금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폭발적인 성장을 위한 마케팅 비용과 당장의 직원 월급을 감당했고, 혹은 은행 예치 후 이자를 받아 수익을 늘렸죠.

거래액을 늘리기 쉬운 시기에는 문제가 아니었다는 뜻입니다. 만일 판매 대금을 어느 정도 쓴다고 해도, 거래액이 계속 늘어나면 자금 흐름에 문제가 없는 거죠.

복수의 이커머스 업계 관계자들은 “판매 대금을 긴 정산 주기로 지급하는 것은 과거 업계의 오래된 관행이었다”는 데에 동의했습니다. 이 때문에 당시 소셜 커머스와 경쟁한 타 이커머스 플랫폼에서도 차라리 정산 주기를 늘리는 게 낫지 않겠냐는 논의가 오가기도 했지만,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습니다.

이커머스 기업이 별다른 제재를 받지 않는다는 점도 이 같은 긴 정산 주기가 가능했던 원인 중 하나입니다. 대규모 유통업법은 대형 유통사가 40~60일 이내로 물건을 정산하라고 강제하고 있는데요. 이커머스 플랫폼에게 적용되지 않습니다. 티몬이 판매한 달로부터 40일 이내, 위메프가 익익월 7일 이내로 정산 주기를 설정할 수 있었던 이유이기도 합니다. 애초에 규제가 없으니까요.

그렇다면 이 판매 대금, 잘 보관하거나 잠시 마케팅비로 쓴 뒤 다시 복구시킨다면 큰 문제가 없겠죠. 혹은 보유한 현금 자산이 많았면, 이 사안이 일어나지 않았을 겁니다.

그러나 티메프는 상황이 다릅니다. 성장하기 어려운 플랫폼이 높은 할인율을 가져가자, 자금 상황은 점차 악화됐습니다.

티메프가 계속해 높은 할인율을 유지하면서 판매 대금을 계속해 내기 위해서는, 플랫폼 내 거래액을 계속 높여야 했는데, 이에 실패한 겁니다. 결국 정산 주기보다는 경영 실패라는 이야기가 나오는 이유입니다.

특히 가격 경쟁을 확보하기 위한 티메프의 대표적인 무리수는 상품권과 각종 여행 상품의 할인율입니다. 티몬과 위메프는 컬처랜드, 해피머니 등 문화상품권과 요기요 등 배달앱 상품권을 10% 내외로 할인했습니다. 자체 상품권인 티몬캐시도 비슷했죠. 상품권 할인은 대개 거래액 성장을 목적으로 한 미끼 상품입니다. 그런데 티메프의 거래액 성장을 이 시점에서요?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