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10월부터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 달린다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이르면 10월부터 서울 상암 일부 구간에서 운전자 없는 자율주행차(레벨4)가 달린다. 국내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의 무인 자율주행차 임시운행허가 신청을 국토교통부가 받아들였다. 운전석에 안전요원이 없이, 완전히 사람이 타지 않은 상태에서 최고속도 50km/h로 달리는 승용 무인 자율주행차 운행은 국내에선 이번이 첫 시도다.
국토교통부는 12일 무인 자율주행 기술개발 활성화를 위해 국내 스타트업에서 개발한 자율주행차량의 일반 도로 운행을 임시운행허가한다고 밝혔다. 라이드플럭스가 무인 운행을 허가받은 차량은 국산 SUV인 제네시스 GV80에 라이다와 레이더, 카메라, GPS 등 자율주행을 위한 센서와 솔루션이 적용한 것이다.
라이드플럭스는 지난해 12월 경기도 화성에 위치한 자율주행실험도시(K-City)에서 무인 자율주행 성능평가를 통과, 올해 안전운행계획서 등 추가 검토를 거쳐 국토교통부로부터 무인 시험운행 허가를 받았다. 무인 허가를 얻기 위해서는 주변 차량 및 보행자 대응, 외부 충돌 및 통신 장애, 차량 시스템 고장 대응 등 높은 수준의 기술 안정성과 신뢰성이 요구된다.
해당 차량의 운행이 예정된 지역은 서울 상암이다. 상암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 내 3.2km를 순환하는 코스로, 횡단보도 교차로와 비신호 회전교차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주변 차량, 보행자 등 도로 이용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해 시험운행 초기에는 교통이 혼잡한 출퇴근 시간을 피해 단계적으로 운행할 예정이다.
다만, 해당 자율주행차가 당장 도로를 달릴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국토교통부는 향후 2단계의 심사를 거쳐 운전자 없는 자울주행차의 시험운행을 최종 승인할 계획이다.
시험운전자가 운전석에 착석한 상태로 두 달 동안 자율주행 운행을 하는 것이 1단계로, 운행실적 검사를 통해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사람이 조수석에 착석한 후 외부에서 원격으로 차량의 안전을 제어할 수 있는 형태의 2단계 시험 운행을 두 달 더 진행한다.
여기서도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운전석과 조수석에 사람이 타지 않아도 운행할 수 있는 무인 자율주행 운행에 돌입한다. 넉달의 시험 과정에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이르면 10월부터 상암에 완전 무인 승용차가 돌아다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무인 자율주행차 시험운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2021년 3월 관련 허가 규정을 개정했다. 국내서는 이번이 해당 허가 규정을 적용해 운행하는 첫 무인 승용차이나 국외에서는 유사한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곳이 구글 웨이모. 지난 2020년 10월 애리조나주 피닉스 지역에서 무인 자율주행 완전 공개 서비스를 시작해 현재 샌프란시스코, LA 등 미국 전역으로 무인 운행을 확대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박진호 자율주행정책과장은 “2016년부터 총 437대의 자율 주행차가 임시운행허가를 취득하여 기술·서비스를 실증하였는데, 이번 무인 자율주행 실증이 또 하나의 변곡점이 되기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정부는 자유로운 무인 자율주행 실증환경 조성과 국민 안전 확보라는 두 가지의 과제를 조화로이 달성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라이드플럭스는 레벨4 이상의 완전 자율주행 소프트웨어를 풀스택(Full-stack)으로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2018년 설립 이후 쏘카, 카카오모빌리티 등과 협력해 완전 자율주행 기술 상용화에 나서고 있다.
박중희 라이드플럭스 대표는 “무인 허가 획득을 계기로 글로벌 수준의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입증하고, 국내 시장에서 무인 자율주행 상용화를 선도할 것”이라며, “주변 차량, 보행자 등 도로 이용자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기술 및 운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남혜현 기자> smilla@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