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대한통운, ‘액화수소 운송사업’ 개시…수소 물류 선점 나서
CJ대한통운이 액화수소 관련 운송사업을 선점해 수소물류 시장을 선도하고자 한다고 9일 밝혔다.
8일 SK E&S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에 따라 CJ대한통운의 액화수소 운송 사업이 본격화됐다.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는 하루 90톤, 연 3만톤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다.
CJ대한통운은 이곳에서 생산한 액화수소의 전국 운송을 맡는다. 액화수소 운송사업은 CJ대한통운이 국내에서 최초로 시작하며, 현재는 운송 가능한 유일한 물류업체다.
CJ대한통운은 SK E&S의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에서 생산된 액화수소를 전용 특수 탱크트레일러에 실어 전국 각지 충전소로 운송한다. 현재 충전소는 인천 가좌 등 총 6개소로, 버스 등 수소차량들이 이곳에서 충전해 운행하게 된다. 액화수소 충전소는 향후 전국 40개소까지 확대될 예정으로, CJ대한통운은 이에 발맞춰 탱크트레일러 차량을 추가로 투입할 계획이다.
회사는 지난 2021년부터 국내 물류분야의 새로운 영역인 액화수소 운송을 수행하기 위해 SK E&S와 협의해왔다. 지난해 액화수소 탱크트레일러 3대를 확보해 올해 초부터 전국 충전소의 테스트를 위한 초도물량을 운송하면서 운영역량을 축적해왔다.
CJ대한통운 측은 “액화수소 운송사업 본격화는 수소생태계의 핵심 에너지원을 취급하는 ‘수소물류’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 및 선점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CJ대한통운은 앞서 지난해 6월 기체수소 운송사업에 진출했으며 이번 액화수소 운송사업 본격화로 기체, 액체 등 수소물류 전반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하게 됐다. 또한 액화수소 운송사업 추진을 위해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 규제 샌드박스 승인을 받음으로서 수소물류에 대한 업계 표준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수소물류에 대한 체계와 기준 등을 확립하고 운영노하우를 축적해 새로운 시장을 선도할 것이며,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수소 생태계의 연착륙에도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