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오프라인서 컬리를 맛보다…‘2023 컬리 푸드 페스타’ 개막

컬리가 6일 서울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동대문디자인프라자(DDP)에서 첫 오프라인 축제 ‘2023 컬리 푸드 페스타’ 막을 올렸다.

서울시 성동구 성수동에서 운영하는 오프컬리는 소수 인원에게 식재료를 소개하고 알리는 자리였다면, 이번 컬리 푸드 페스타는 다수에게 입점 브랜드의 식품을 직접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자리다. 이날 행사를 기획한 이나리 컬리 최고소통책임자는 “협력 업체를 위해 이번 행사를 기획했다”고 설명했다. 

행사가 시작하기 10분 전인 오전 9시 50분, 이미 입장 줄이 길었다. 회사에 따르면 오픈 2시간 만에 2000여명이, 3시간 만에 거의 3000명이 입장했다. 컬리는 9일까지 진행하는 이번 행사에 1만5000여명이 모일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컬리는 구역을 컬리에서 인기 있는 브랜드를 모은 ‘컬리 베스트 존(Kurly Best Zone)’과 컬리에서만 판매하는 상품을 모은 ‘컬리 온리 존(Kurly Only Zone)’으로 나눴다. 이날 참가한 기업은 85개, 참여 브랜드는 총 135개다. 컬리는 커피, 베이커리, 디저트 등 ‘달콤한 도시’, 치즈나 버터 등을 판매하는 부스인 ‘풍미의 조건’, 간편식이나 샐러드를 판매하는 기업 부스에는 ‘가장 빠른 행복’, 국이나 반찬 등에는 ‘천만의 집밥’, 식재료에는 ‘요리의 시작’ 등 이름을 붙여 부스를 구분했다.  

행사장에 참여한 부스들은 시식과 증정 등을 통해 방문객의 발길을 이끌기 바빴다. 컬리는 입장 시 컬리 로고가 새겨진 장바구니와 컬리 자체 브랜드 물티슈 등을 제공해 소비자들의 무거운 손을 덜었다. 

이후 처음 마주할 수 있는 것은 컬리 베스트 존의 대형 기업들이다. CJ제일제당, 풀무원, 매일유업, 하림 등이 이번 행사에서 부스를 마련, 인기 상품과 함께 신제품을 선보였다.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3 컬리 푸드 페스타’ 내 풀무원 지구식단 부스

예를 들어 매일유업은 셀렉스 신제품을 내놨다. 특히 CJ제일제당은 체험 요소를 가미한 부스로 이목을 끌었다. 

반면 컬리 베스트 존 내 다른 기업들은 잘 팔리는 상품을 주로 선보였다. 이날 올리브를 시식상품으로 내놓은 부스 참가자는 “가장 잘 팔리는 상품을 선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3 컬리 푸드 페스타’ 내 복권을 제공하는 프릳츠와 뽑기 이벤트를 진행하는 미성패밀리

복권이나 뽑기 등 다양한 놀거리를 마련한 부스들도 눈에 띄었다. 커피 브랜드 ‘프릳츠’는 컬리 내 자사 상품에 ‘좋아요’를 누른 방문자에 한해 프릳츠 상품을 건 복권을 증정했다. 미성패밀리의 ‘허쉬’에서는 상품을 구매할 경우 뽑기를 통해 상품을 추가 증정했다. 또 컬리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경로로 소개한 치즈, 빵 등 제품에 대한 정보를 알리는 브랜드존도 한구석에 마련됐다. 이날 남자친구와 함께 방문한 20대 여성 A씨는 “컬리 앱에서 보고 티켓을 구매해 방문했다”며 “시식을 위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3 컬리 푸드 페스타’ 내 이동 통로

컬리 베스트 존과 컬리 온리 존을 잇는 통로에서도 컬리가 추구하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회사는 통로 내 포토존과 컬리에서 판매하는 상품과 컬리 상품 박스를 전시했다.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3 컬리 푸드 페스타’ 컬리 온리 존

컬리 온리 존에서는 컬리에 단독 입점한 업체들이 부스를 마련했다. 특히 부스 배경과 번호 디자인을 일관되게 해 통일성을 보였다. 또 컬리 브랜드존이 눈을 끌었다. 

컬리온리존에 있는 업체들은 전반적으로 업체와 상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고 입을 모았다.  컬리온리존에 있는 한 식품업체 대표는 “식품전에서 중소기업이 주목받기 쉽지 않다”며 “그럼에도 잘 알려진 기업과 기존 인지도가 낮은 기업들이 함께 주목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당 업체는 이미 이날 오전 납품을 위한 미팅 2건을 확정했다. 컬리가 중소기업의 판로를 열어준 셈이다. 이날 ‘미자언니네’는 컬리 푸드 페스타를 위해 페스타용 샘플 세트를 판매하기도 했다.

이날 참여한 업체들 중 일부는 현장 판매를 진행하지 않고 컬리 앱 내에서만 상품을 판매했다. 부스마다 앱 내 브랜드 상품 페이지로 연결되는 QR코드를 마련해 구매를 적극 권장했다. 앱 내 판매만 진행하는 한 부스 관계자는 “냉장, 냉동 상품 경우 현장 판매가 어려울 수 있다고 해 앱으로만 판매하고 있다”고 말했다. 컬리 관계자는 “여름이다보니 음식이 상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전달한 바 있다”고 말했다. 

6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2023 컬리 푸드 페스타’에서 열린 컬리 푸드 컨퍼런스 키노트를 맡은 김슬아 컬리 대표

이날 컬리는 부대행사로 6~8일 컬리 푸드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행사 첫날, 김슬아 컬리 대표가 키노트를 맡았으며, 같은 날 키움증권 박성준 연구원, 이준호 LG CNS 스마트물류사업담당 상무, 류형규 컬리 최고기술책임자(CTO), 최자은 CJ제일제당 한국 식품 마케팅 본부장 등이 연사로 나섰다.

한편, 컬리는 이번 행사의 열기를 온라인에서 이어간다. 컬리는 온라인 푸드 페스타 기획전’을 열고 오는 20일까지 행사장에서 선보인 브랜드 상품을 최대 40% 할인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