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바드, 이미지 지원 기능 곧 선보일 것…40개 언어 추가 지원”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구글이 생성 인공지능(AI) 솔루션 ‘바드(Bard)’의 이미지 생성 기능을 조만간 선보인다고 밝혔다. 아울러 40여개 언어를 추가 지원하고 180개국에 바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최현정 구글 바드 디렉터는 13일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구글이 공동으로 주최한 ‘인공지능 위크 2023’에서 “이미지 정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프롬프트를 입력하면 텍스트 답변뿐 아니라 이미지도 생성해주는 기능이다. 반대로 구글 렌즈 기능을 결합해 이미지를 넣어 질문하는 기능도 제공할 예정이다.
앞서 5월 구글은 영어 다음 지원 언어로 한국어를 택한 바 있다. 여기에 또 지원 언어를 추가하는 게 구글의 계획이다. 최현정 디렉터는 “40개 이상의 언어를 지원해 180개국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바드는 구글의 거대언어모델(LLM) ‘팜(PaLM) 2’를 활용한 챗봇 솔루션이다. 현재 챗GPT의 강력한 대항마로 꼽힌다. 특히 팜 2는 다국어 지원과 추론, 코딩 능력에 강점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앞서 챗GPT 열풍을 일으킨 오픈AI에 비해 후발주자격인 구글은 신기능과 다양한 언어지원을 통해 생성AI 솔루션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다는 계획이다.
단, 최 디렉터는 LLM이 아직 완벽한 기술은 아니라고 강조했다. 오래되거나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들어올 수도 있기 때문에 결과도 부정확할 수 있다는 의미다. 하지만 구글은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이 같은 약점을 보완한다.
그는 “바드는 LLM과 구글이 확보한 양질의 정보를 기반으로 답변을 생성한다”면서 “전세계의 구글 사용자가 주는 의견을 수렴해 성능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최 디렉터는 이날 발표에서 바드가 내놓은 답을 구글 시트나 독스로 내보내는 기능도 선보였다. 만약 운동 계획을 짜달라고 했다면 단순히 바드 답변 창에서 보는 것을 넘어 구글 시트에서 스케줄 형태로 보거나, 바드가 짜준 면접 예상 질문을 독스에서 볼 수 있는 식이다.
오픈AI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한 마이크로소프트가 ‘코파일럿(Copilot)’을 통해 자사 오피스 소프트웨어에 챗GPT를 탑재한 것처럼 바드를 구글의 소프트웨어와 연결해 생태계 확장을 꾀한다. 시장을 선점한 마이크로소프트와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대목이다.
최 디렉터는 “구글이 AI 퍼스트 컴퍼니(first company)를 선언한 지 7년이 지났다”며 “바드의 궁극적인 지향점은 모두가 상상하는 모든 것을 만들고 해낼 수 있는 창의적인 파트너가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