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머스BN] 네이버vs무신사, 패션시장에서 맞붙는다
네이버와 무신사 양사의 패션시장 내 경쟁이 활발해지는 모습이 포착되고 있습니다. 배송 부터, 전문관 설립, 리셀까지. 지난해 초 손자회사 크림과 무신사 간 맞붙었던 정품 가품 논쟁은 이제 양사의 패션 사업 전면으로 확대됐습니다. 네이버와 무신사의 경쟁은 어쩌면 지금부터일지도 모릅니다.
네이버와 무신사의 강점은 명확합니다. 네이버는 검색 플랫폼으로의 이점과 네이버플러스 멤버십이 맞물려 쇼핑을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네이버가 밝힌 플러스 멤버십 회원수는 약 800만명입니다. 최근에는 구체적인 수치를 밝히지는 않았지만 네이버 관계자는 “수치가 계속 우상향하고 있으며 대학생 등을 상대로 한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student’ 또한 계속해 가입자 수가 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네이버플러스 멤버십 스튜던트는 지난해 9월 네이버가 대학생들을 상대로 마련한 멤버십입니다.
지금까지 패션은 네이버가 약한 분야 중 하나였는데요. 네이버는 지난해 11월 버티컬 패션 쇼핑 플랫폼 ‘패션타운’을 출시해 패션에서의 플랫폼 입지를 다시 다지고자 했습니다. 브랜드, 백화점, 아울렛, 소호, 디자이너 패션 등 지금까지 패션 윈도로 있던 카테고리를 한 곳에 모은 셈입니다. 다만 아직 업계에서는 네이버의 패션 시장 진입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지 않습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에 입점한 패션 브랜드는 대부분 자사 플랫폼에도 입점해있으며 입점 상품이 다르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무신사는 브랜드 패션의 성지입니다. 2000년대 초반 커뮤니티로 시작해 패션 브랜드라고 하면 꼭 입점해야 할 플랫폼으로 성장했죠. 별도의 광고 상품 없이 수수료만 받는 무신사는 지난해 기준 매출 7000억원을 돌파하며 브랜드 패션의 선두 주자다운 면모를 내비췄습니다.
이 가운데, 네이버와 무신사가 각자 가지고 있는 서비스를 강화합니다. 배송, 리셀 등 기존 역량을 동원해 패션 카테고리 성장에 나섭니다.
여기부터는 콘텐츠 멤버십 ‘커머스BN 프리미엄’ 가입자를 대상으로만 공개됩니다. 가입은 네이버를 통해 하실 수 있습니다. 커머스BN은 콘텐츠를 기반으로 커머스 가치사슬을 연결하는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만들고, 콘텐츠를 통해 산업과 산업,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여 시너지를 만들고자 합니다. 그 새로운 도전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