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이드, 적자전환…작년 영업손실 806억원
위메이드가 지난해 적자전환을 했다. 회사 측은 인건비 증가, 금융자산 평가, 처분 손실이 적자전환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위메이드는 15일 연간 실적발표 컨퍼런스 콜을 통해 2022년 연간 매출액이 전년대비 37% 상승한 약 458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손실은 약 806억원, 당기순손실은 약 1239억원으로 적자전환했다.

지난해 실적과 관련해 회사 측은 “미르4 글로벌과 미르M 국내 출시 등의 영향으로 매출이 올랐으나, 금융자산 성과 손실 인식 기저효과 등으로 이익은 감소했다”고 밝혔다.
[무료 웨비나] 아이덴티티 보안 없는 보안 전략은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습니다
◎ 일시 : 2025년 7월 15일 (화) 14:00 ~ 15:30
◎ 장소 : https://bylineplus.com/archives/webinar/53537
영업이익 적자전환과 관련해 회사 측은 사업 확장에 따른 인건비, 지급수수료 등 비용 전반이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당기순이익 적자전환에 대해선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 및 처분손실이 반영된 것이 견인했다고 덧붙였다.
4분기 기준으로도 회사는 약 244억원의 영업손실, 약 126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지난해 벌어진 모든 일과 좋지 않은 재무실적에 사과한다”며 “2023년은 그동안의 쌓아올린 사업의 성과를 내는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올해 회사의 키워드로 ▲롤업(Rollup, 확장) ▲안티프레질(Antifragile, 부서지지 않는) ▲투명성을 제시했다.
블록체인에서 롤업은 여러 트랜잭션을 모아 하나의 데이터로 만들어 이를 메인넷에 올리는 것을 의미한다. 위믹스가 이 키워드를 내세운 것은 디지털 이코노미 플랫폼으로 나아가겠다는 의미다.
장 대표는 “올해는 미르4와 미르M의 성공을 잇는 블록체인 게임을 선보이고 인터게임 이코노미를 고도화해서 질적으로 성장하는 한해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터게임 이코노미란, 게임과 게임의 경계 없이 거래가 가능한 경제 구조를 말한다.
또 프로토콜 기반의 경제 공동체인 다오(DAO)와 탈중앙화금융(디파이,Defi) 서비스 위믹스 파이를 통해 새로운 디지털 이코노미를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회사는 위믹스의 총 발행량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장 대표는 “위메이드는 지난해 크립토 윈터 속에서 다양한 시련을 겪었고, 이를 기회로 활용해 기술적 사업적 역량을 키워냈다“며 “불확실한 산업 속에서 ‘안티프레질’한 능력은 목표를 이루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블록체인 상에서 무언가를 몰래한다는 건 불가능하다“며 “내가 기부한 돈이 어떻게 쓰이는지 등 이해관계자가 (돈의) 쓰임을 언제든지 확인할 수 있는 투명 경제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올 1분기까지 100개의 게임을 온보딩하겠다는 계획에 대해선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장 대표는 “구체적인 숫자를 제시한 건 플랫폼이 고도화되기 위해 양적인 측면이 중요하기 때문이었다“면서도 “올 1분기까지 그 숫자를 다 채우지 못할 것 같다“고 일축했다.
한편, 위메이드는 지난달 17일 글로벌 디지털 자산 거래소 ‘비트마트’에 위믹스를 상장한 바 있다. 이어 15일 브라질 로컬 가상자산 거래소 ‘메르카도 비트코인’에도 위믹스를 신규 상장했다고 밝혔다.
위메이드 관계자는 “위믹스를 브라질 현지 통화인 레알화(Real)로 거래할 수 있어, 브라질 내 거래 편의성이 향상됐다“며 “위믹스 플레이 이용자가 많은 브라질에서 미르4, 미르M 등 블록체인 게임과 위믹스 플레이 플랫폼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글.바이라인네트워크
<박지윤 기자> nuyijkrap@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