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먹통에 고개 숙인 SK C&C “미흡함 사과…적극적으로 보상 협의할 것”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서비스가 중단 사태를 겪은 것에 대해 센터 운영사인 SK C&C 측이 사과의 뜻을 전달했다. 미리 대비하지 못한 설계상 허점에 대해서도 개선을 약속했다.
부가통신사업자의 서비스 안정성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의 실효성 지적도 나왔다. 이에 정부는 법제화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또한 통신사들이 받는 망사용료 액수 공개 요구가 나왔지만 명쾌한 답변은 이뤄지지 않았다.
24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종합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박성하 SK C&C 대표는 “임직원 일동이 엄정한 책임감을 통감한다”며 “국민 여러분께 불편 끼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SK C&C는 앞서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당시 대응을 비롯해 방재 대책 등 운영 전반의 미흡함을 지적 받고 있다.
박성하 대표는 “보상에 대해서는 사고 원인 규명이 이뤄지기 전에도 적극적으로 (카카오, 네이버 등과) 협의하고, (SK)그룹과도 협의하겠다”며 “또 이런 사고가 재발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 대표는 데이터센터의 구조상 허점에 대해서도 고개를 숙였다. 2016년 리튬이온 배터리로 교체했지만 이에 적합한 소방시설과 시스템으로 바꾸지 않았다는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제반 법규는 준수했지만 이번 사안을 계기로 설계 사항을 개선하겠다”며 “여러 미흡함으로 불편을 끼친 점에 대해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홍석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보도에 따르면 BMS가 (이상 징후를)두 번 감지했다는데 사실인가”라고 물었다. 배터리관리시스템을 뜻하는 BMS는 전압·전류 등 배터리 상태를 진단하고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박 대표는 “그런 이상증후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반박했다.
화재 진압을 위한 할로겐 가스의 분량도 쟁점이 됐다. 데이터센터 내에 할로겐 가스를 분사하는 자동소화설비가 있었지만 화재를 제대로 진화할 만큼 충분한 양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온 바 있다. 화재 당시 할로겐 가스 1500㎏이 분사됐지만 초기 진화에는 실패했었다.
박 대표는 이에 대해 “저희는 최선이라고 생각했지만 보완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정부도 부족한 관리 감독에 대해 질타받았다. 관련 가이드라인이 있었지만 제대로 이행되지 않아 사태가 일어났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정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안전성 확보 의무가 부과된 부가통신사업자의 안정적 서비스를 위한 가이드라인이 제대로 운영되지 않았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말 나온 가이드라인은 일정 규모 이상 부가통신사업자에 대해 ‘서버 운영 등 정기적 유지보수’, ‘장애발생 시 신속 대응 모니터링 운영’ 등을 안정적 서비스 이행과 관련한 사항을 권고한다. 전기통신사업법은 직전년도 3개월간 국내 일평균 이용자 수 100만명 이상이면서 국내 총 트래픽 양의 1% 이상인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다. 카카오를 포함해 네이버, 구글, 넷플릭스, 메타 등이 해당된다.
이정문 의원은 “이번 사태를 방지할 수 있었던 내용이 포함돼 있다”며 “사태와 같은 대국민적 혼란은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었다. 사실상 유명무실하다. 강제성이 부과돼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가이드라인 이행에 강제성을 부여하는) 법적 장치가 없어서 이번을 기회로 법으로 규정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망사용료 이슈도 제기됐다. 망사용료는 콘텐츠사업자(CP)가 콘텐츠를 송출하며 사용하는 트래픽 만큼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에게 일정 비용을 지급하는 개념이다.
망사용료 액수 공개를 요청한 장경태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강종렬 SKT 인프라 사장을 상대로 “트위치가 우리나라 통신 3사에 북아메리카와 유럽 국가보다 30배 이상, 다른 아시아 국가 대비 15배 이상의 망 이용대가를 지급하고 있다고 한다”며 “트위치가 국내에 내는 망이용대가는 전세계 지급액의 절반 이상”이라고 말했다.
이에 강종렬 사장은 “망 이용대가는 저희와 CP 간의 여러 조건을 통해 개별 협상하고 있다”며 확답을 피했다.
장 의원은 또 지난 12일 개최된 망사용료 관련 설명회에서 나온 윤상필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KTOA) 대외협력실장의 부적절한 발언도 지적했다. 당시 윤상필 실장은 ‘유튜버 등이 2030대 남성들에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고 있다’는 취지의 발언으로 물의를 빚었다.
강 사장은 “부적절한 용어가 사용됐다”며 “심려를 끼져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진호 기자>jhlee26@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