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보호산업, 국가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정부가 정보보호산업을 차세대 전략산업으로 육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0일 5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 디지털 대전환 시대 정보보호산업의 전략적 육성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방안에는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정보보호 신시장 창출부터 ▲글로벌 일류 정보보호 기업 육성 ▲정보보호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생태계 확충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 경쟁력 확보까지 4가지 추진전략과 실행과제가 담겼다.

사이버보안이 국가안보와 직결된다는 특수성을 감안해 작년 말 ‘10대 국가필수전략기술’로 지정한 데 이어 이같은 전략적 육성 방안을 내놨다. 사이버위협이 국민 생활, 경제 전반과 밀접한 분야에서 발생하면서 디지털 경제 성장을 위해 정보보호 안전망 확충이 요구되고 있고, 디지털 전환 가속화와 함께 우리 정보보호 기업과 기술로 디지털 자산을 보호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과제가 됐다는 진단 아래 이같은 방안을 마련했다.

정부는 국내 정보보호시장이 최근 3년간 연평균 8.4% 성장했고, 글로벌 시장도 2024년까지 연평균 9.4%의 성장이 전망되는 등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AI 보안, 비대면, 융합보안 신보안기술 분야 육성

특히 정부는 정보보호 신시장으로 인공지능(AI) 기반의 보안 시장, 비대면 보안 시장, 융합보안 시장을 지목했다. 이에 따라 지능화되는 보안위협에 대응해 제품‧서비스 개발에 AI 기술을 활용하는 AI 보안 기업을 단계별 집중 육성한다. 보안위협 자동탐지‧대응 솔루션 등 AI 기반 신규 보안제품 개발 지원(1년차), 우수제품을 대상으로 판로개척 및 해외진출까지 연계(2년차)해, 2025년까지 60개사를 발굴·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또한 보안제품·서비스의 성능 고도화를 위해 사이버보안 데이터셋(악성코드, 침해사고 데이터 8억건과 물리보안 영상데이터(5종)를 개방, 국내 보안기업들이 이같은 데이터를 제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해 확산된 비대면 온‧오프라인 서비스에 새로운 보안기술을 적용해 안전과 신뢰의 비대면 서비스로 전환을 가속화한다. 원격의료지원 서비스와 메타버스 기반의 비대면 서비스(회의, 교육, 메타커머스) 보안 모델을 개발해 보안성이 확보된 온라인 안심서비스로 전환 확대해나간다.

이와 관련해 홍진배 과기정통부 정보보호네트워크정책관은 “작년 9월에 안심스마트점포 1호점을 코엑스에 오픈했다. 한국형 아마존고(Amazon Go)라고 하는 안심스마트점포 보안 모델을 금년부터 더욱 확산해 나가고, 지능형 CCTV 등 AI 물리보안 솔루션을 실운영 상황에서 학습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구축해 다양한 중소업체들이 솔루션들을 개발할 수 있는, 안심스마트점포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융합보안 분야에서는 5G 융합서비스로 일컫는 자율주행차, 디지털헬스케어,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등 ICT 융합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5G+ 융합보안 거점 구축·강화한다.

현재 운영 중인 전국 5개 보안리빙랩(안양, 안산, 군산, 원주, 부산)에 식약처, 중기부, 산업부 등 관련부처와 연계해 각각 특화된 융합보안 리빙랩을 구축해 융합 산업별 보안성 시험을 확대한다. ▲안양(디지털콘텐츠성장지원센터)에는 실감콘텐츠 보안을, ▲스마트공장 보안은 안산(스마트제조혁신센터)에, 군산(자동차융합기술원)에서는 자율주행차 보안을, 디지털헬스케어 보안은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스마트시티(부산 센텀기술창업타운)는 부산에 각각 융합보안 거점을 마련해 보안 리빙랩과 연계한다는 것.

홍 정책관은 “의료기기나 자동차 융합보안 기술, 스마트공장 기술과 보안 모델을 연계해 원스톱으로 패키지 보안 적용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우수 정보보호 기술·제품 지정해 판로 지원, 협업·M&A 활성화 

정부는 글로벌 일류 정보보호기업 육성을 위해 첨단 정보보호기술에 기반한 선도 기술·제품 개발을 지원한다. 정보보호산업법(18조)에 따라 우수 정보보호 기술·제품을 지정해 조달 연계 등 판로 개척도 지원하기로 했다. 금융기관과 협업해 정보보호 분야 벤처기업 투자상품 개발을 추진하는 등 정보보호 기업의 투자 유치 기회도 확대한다.

정보보호 벤처기업 간 협업, 인수합병(M&A)을 통한 사업 영역 확대, 유통채널을 유한 선도기업과 우수기술을 보유한 초기기업 간의 협업으로 통합보안 솔루션화를 유도하는 등 협업과 M&A 활성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해외 진출과 관련해 효과적인 해외 판로 개척을 위해 미국, 동남아, 중남미 등 주요 5대 거점을 중심으로 권역별 목표 설정을 수립해 집중 공략한다.

정보보호 공시 이행 유도, IoT 정보보호인증 다양한 분야로 확대

정보보호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생태계 확충 일환으로 작년 말에 도입한 정보보호 공시 의무화 시행을 통해 이용자의 알권리 보호와 더불어 경쟁적인 정보보호 투자를 유도한다. 정부는 6월까지 정보보호 공시를 완료토록 하는 한편, 전자공시시스템을 도입해 분야별 현황과 투자 증감 추이를 공개하고, 정보보호 투자 현황 보고서 발간할 예정이다.

아울러 열화상카메라, 홈IoT(도어락, 월패드), 드론, 의료 엑스레이(X-ray) 등 다양한 분야로 정보보호인증을 확대해 정보통신 기기의 보안 내재화 기반 마련한다.

홍 정책관은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기준 및 고시를 작년 말에 개정했는데, 이를 반영한 홈·가전 사물인터넷 보안을 공동주택에 적용토록 지원하고, IoT 보안인증 수요 증가에 대응해 시험자동화 도구를 개발, 연구개발(R&D) 신규 인증 대상 개발 등 정보보안 인증을 고도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중소기업 8300개 보안역량 강화 지원, 올해 R&D에 928억원 투입

정부는 정보보호 환경이 열악한 중소기업과 지역 대상 보안역량 강화 지원 사업을 확대한다. 중소기업 8300개사를 대상으로 랜섬웨어로 인한 업무 중단, 데이터 유실 예방 강화를 위해 중소기업 데이터금고 구축을 통합 백업 지원, 영세기업 대상 클라우드 기반 보안서비스(SECaaS)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

차세대 정보보호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보보호 연구개발 규모를 지난해 규모(747억원) 대비 24% 늘린 928억원을 투입한다. 지능화되는 사이버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4대 대응체계(억제·보호·탐지·대응) 중심의 ICT 인프라 보호 기술 개발을 지원하고, 글로벌 공급망 위협에 대응한 공급망 보안기술, 6G·양자 등 미래 신기술 도입에 대비한 보안기술도 선제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디지털 경제 보호를 위한 비대면 환경 보안 기술 확보를 위해 올해 235억원을 투입해 제로트러스트 보안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동형암호 기반 데이터 보호 기술 개발과 81억원 규모의 IoT 보안위협 대응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홍 정책관은 “사이버보안 분야에서도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기정통부는 작년 12월에 사이버보안을 ‘10대 국가필수전략기술’로 선정했다. 국가안보와 직결되는 사이버안보의 특수성으로 인해서 반드시 우리 기술과 기업을 통해서 확보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관련해 과기정통부는 올 하반기 ‘사이버보안 신기술 개발 로드맵’을 수립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KISA, 신기술 적용 비대면 서비스 보안 강화 시범사업 공모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관련 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