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SW 지원 나선 정부…환자정보 공유・불법주정차 플랫폼 나온다

정부가 민간의 혁신 소프트웨어(SW)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공공 혁신 플랫폼 개발 지원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국가디지털전환 사업을 통해 공공 혁신 플랫폼 3개소 구축을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국가디지털전환 사업은 공공 부문을 대상으로,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민간 플랫폼 기획 및 구축을 지원한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지난 2018년도부터 과제 기획을 통해 보건복지부, 서울특별시, 전라남도의 3개 플랫폼에 사업비 61억원을 투입했다.

먼저, 보건복지부는 전자의무기록 시스템 표준 프레임워크를 개발, 민간 제공을 위한 웹 플랫폼을 구축했다. 전국 의료기관·업체에서 개별 구축한 전자의무기록(EMR)을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EMR이란 종이차트에 기록했던 환자의 모든 정보를 전산화해 입력, 저장,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이 플랫폼은 환자가 의료정보의 주체가 되는 것이 골자다. 환자가 직접 의료정보를 수집하고 진료요약지 등 진료 기록으로 변환하는 등 종합의료기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의료기관과의 정보 교류 등 통합 관리할 수 있어 환자 중심의 진료정보 활용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별로 운영되고 있는 불법주정차 단속 및 과태료 시스템을 통합·연계해 불법주정차 통합플랫폼을 구축했다. 민·관이 공동 활용할 수 있다. 불법주정차 관련 통합정보제공, 행정효율성 제고가 목적이다.

민원인이 자치구별로 회원가입하고 처리하던 민원처리 업무도 일원화했다. 불법주정차 관련 통합 정보제공, 행정효율성 제고가 가능할 전망이다. 나아가 서울시는 불법주정차 단속위치, 민원 분석정보 등의 애플리케이션프로그래밍인터페이스(API)를 활용한 다양한 민간 서비스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라남도는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 가공, 유통, 소비 등 전 과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한 ‘친환경 농산물 유통 플랫폼’을 구축했다. 생산자, 친환경 농산물의 생산·유통 과정의 참여자 간 정보공유와 증빙서류, 검수 작업을 디지털로 전환해 간소화했다. 판매자, 소비자 등 모든 참여자가 각각의 정보를 저장해 식재료 수요처를 투명하게 공유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을 활용해 친환경농산물 직거래 매칭 서비스 등 혁신 서비스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전라남도 측의 설명이다. 생산자와 소비자의 거래 희망품목, 수량, 출하시기 등에 대해 직거래 가능한 매칭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운데 친환경 농산물 등을 판매하는 온라인 마켓 오픈이 오는 3월 예정됐다. 민간의 다양하고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기정통부는 혁신 플랫폼을 활용해 민간이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실증사업도 추가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다.

송경희 과기정통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이 사업은 공공부문이 민간 SW시장 확대를 위해 민간의 혁신 SW 서비스 개발 수요를 선제적으로 반영한 공공 혁신 플랫폼을 기획·구축한 것”이라며 “이 플랫폼을 기반으로 민간의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연계될 수 있도록 소관부처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기업의 서비스 개발 실증 및 공공의 이용 확대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홍하나 기자>0626hhn@byline.network

2 댓글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