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사지원서로 위장한 랜섬웨어 이메일 주의…“감염 피해 속출”
[무료 웨비나] 개발자를 위한 클라우드플레어를 소개합니다
◎ 일시 : 2025년 2월 6일 (목) 14:00 ~ 15:00
[무료 웨비나] 중동의 ICT 및 테크 기업 생태계 – 사우디 아라비아, UAE를 중심으로
◎ 일시 : 2025년 1월 23일 (목) 14:00 ~ 15:10
입사지원서를 위장해 메일로 유포되는 랜섬웨어가 기승이다.
이스트소프트의 보안 자회사 이스트시큐리티(대표 정상원)는 최근 국내 기업 인사 담당자를 대상으로 구직자의 입사지원서를 위장한 악성 이메일이 급속도로 유포돼, 랜섬웨어 감염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이스트시큐리티 시큐리티대응센터(ESRC) 분석결과, 이번 랜섬웨어는 지난 2016년부터 한국의 특정 기관, 기업, 고유 커뮤니티에 속한 개인을 대상으로 지속적으로 랜섬웨어를 유포했던 조직의 소행으로 추정된다.
이 공격 조직은 최초에는 비너스락커(VenusLocker) 랜섬웨어를 유포했고, 올해 3월 ‘갠드크랩(GandCrab) v2.0’ 유포에 이어 현재는 ‘갠드크랩 v3.0’ 랜섬웨어를 이메일 첨부파일 형태로 유포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번 공격은 주로 이중 확장자를 사용해 문서나 사진 파일 등으로 위장한 링크파일(*.LIK)이 포함된 압축파일을 이메일에 직접 첨부해 유포했던 기존과 달리, 악성 URL 링크를 첨부하고 악성 압축파일을 내려받도록 유도하는 공격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내려받은 악성파일에는 이중 확장자를 사용한 위장 파일 대신 자바스크립트(*.js) 파일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파일을 실행하면 자동으로 랜섬웨어가 사용자 PC에 설치되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해당 악성 이메일은 국내 유명 취업전문 사이트의 기업별 채용정보에 기재된 기업 인사담당자의 이메일 주소로 급속도로 유포되고 있다.
메일은 기업 인사 담당자가 의심을 가지지 않도록 구직자가 입사 지원서를 제출하는 내용이 유창한 한국어로 작성되어 있으며, 링크 형태로 포함된 이력서를 클릭해 열람하도록 유도한다.
만약 인사 담당자가 메일 내용에 속아 이력서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발신자 이메일 아이디와 같은 이름의 압축 파일이 다운로드 된다.
이 압축 파일 내부에는 이력서를 의미하는 영문표기인 ‘resume.js’ 파일이 포함되어 있고, 인사 담당자가 이 파일을 실행하는 즉시 ‘갠드크랩(GandCrab)’ 랜섬웨어에 감염돼 문서, 사진 등 PC에 저장된 각종 파일이 암호화된다.
ESRC 문종현 이사는 “랜섬웨어 공격은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으며, 공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특정 대상을 공격하는 타깃팅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라며, “만약 기관이나 기업에서 랜섬웨어에 감염될 경우 소중한 문서 자산을 유실하는 등 큰 피해가 발생되기 때문에, 조직에 속한 임직원의 보안 의식 수준 고취와 조직 차원에서의 보안 강화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라고 당부했다.
현재 이스트시큐리티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협력해 자바스크립트 파일이 동작하는 해당 서버의 국내 접속 차단 조치를 진행 중이며, 추가 공격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하고 있다.
한편 회사 측은 “이번 랜섬웨어 공격과 관련된 악성 파일을 ‘Trojan.Ransom.GandCrad’ 등으로 진단하고 차단하는 ‘알약(ALyac)’ 긴급 보안 업데이트를 진행했다. 이밖에 알려지지 않은 갠드크랩 랜섬웨어 변종 공격에 대해서도 알약에 적용된 랜섬웨어 행위기반 사전 차단 기술로 방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 기자의 뷰(View)
랜섬웨어 공격은 계속되고 있다. 작년 말, 올해 초 전세계적으로 비트코인같은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치가 폭등하자 암호화폐 채굴을 노린 ‘코인마이너’ 유형의 악성코드가 급증하면서 랜섬웨어 공격이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최근 암호화폐 가치가 하락하면서 코인마이너가 감소하고 랜섬웨어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스트시큐리티는 ESRC의 분석 결과 “3월부터 랜섬웨어 유포 수가 다시 증가하며 올 1분기 랜섬웨어 총 차단 건수가 전 분기 대비 14% 이상 상승했다”라면서 “랜섬웨어 위협은 여전히 심각하다. 이미 패치가 이뤄진 취약점을 활용한 공격도 지속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하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번에 유포된 ‘갠드크랩’ 외에도 올해 ‘헤르메스(Hermes)’, ‘매그니버(Magniber)’ 등의 랜섬웨어가 유포되기도 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