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유원 네이버 클라우드 대표 “젠슨황이 약속한 GPU 6만장도 부족해”
“AI 기술이 만들어지는 건 좋지만, 결국 그 기술로 어떤 가치를 만들어내느냐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치를 만들려면 서비스 등이 있어야 합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경량화 모델을 많이 신경쓰는 이유입니다. AI 서비스를 이용해 가치를 만드는 건전한 구조를 만들려고 하면 투입된 비용 대비 가치가 더 커야 합니다.
저희는 국가와 실제 기업 등과 투입된 비용 대비 가치를 낼 수 있는, AI 거품론의 걱정을 꺼뜨릴 수 있는 준비를 꽤 오랫동안 해왔고, 그런 식으로 AI 산업 등이 건전화될 거라 생각합니다.”
6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팀네이버 통합 컨퍼런스 ‘단25’ 미디어 간담회에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AI 거품론에 대해 이같은 입장을 밝혔다. 일각에서 AI 거품론이 계속해 나오는 상황에서 과감한 기술 인프라 투자와 함께 ‘건전한 AI’ 사업을 만들겠다는 목표다.
이날 김 대표는 키노트에서 “기존 소버린 AI가 언어와 문화 중심의 기술 자립에 초점을 맞췄다면, 소버린 2.0은 이를 산업과 일상 전반으로 확장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는 개념”이라고도 말했다.
그리고 앞으로도 AI 사업에서 앞서간다는 목표다. 이번 경주 APEC 기간 동안 한국을 방문한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로부터 그래픽처리장치(GPU) 6만장 공급을 약속 받은 기업이기도 하다. .
이렇게 공급 받은 GPU는 네이버의 AI에 활용할 예정이다. 하이퍼클로바X, 온서비스 AI 에이전트, 피지컬 AI, 버티컬 AI, 그리고 이날 키노트에서 발표한 포용적 AI가 대표적인 예시다.
김 대표는 이같은 네이버 AI를 개발하는 데 있어 “6만장도 충분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하기도 했다. 아직 정확한 공급 타임라인은 나오지 않았다.
“원래도 팀 네이버 자체가 1년에 몇만 장씩을 사고 있었기 때문에, 6만장이 하루아침에 다 들어와도 데이터센터 등도 확보해야 합니다.
예전보다는 과감하게 투자해서 사는 것이므로, 이 같은 데에 일정을 잡고 있습니다. “
GPU 인프라 확보 및 활용에 대해 김 대표는 “기업과 정부가 한 뜻으로 마음을 합쳐 투자를 결정했다는 걸 굉장히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면서도 “GPU와 인프라를 확충한 사업자가 이를 어디다 쓸 것이냐 영역까지 결정하는 것은 옳지 않다 생각해, 모델과 서비스 구축, 운영 등에 쓰이는 건 균형 잡혀 될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국가 AI 컴퓨팅 센터에 대해 “어떻게 안정적으로 정부나 기업이 쓸 수 있는 GPU 인프라를 확충할 것인가가 저희의 미션이며, 포용적 AI나 버티컬 AI 등을 꽃피우는 건 우리나라 생태계에 있는 다양한 기업과 협력해야 하는 부분이라 생각한다”고 밝혔다.
엔비디아와의 피지컬 AI 협력에 대해서는 네이버클라우드가 중간 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 설명했다. 앞서 네이버는 2016년부터 로봇과 자율주행 연구를 시작했으며, 2021년에는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피지컬 AI로 발전시켰다. 엔비디아와는 피지컬 AI 플랫폼 개발을 약속한 상황이기도 하다.
김 대표는 “엔비디아와는 피지컬 AI와 관련된 안정적 인프라를 어떻게 확정할 것이냐를 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제조AI, 소버린 AI에서 많은 플레이어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엔비디아와도 협업하고 기술, 로봇, 제조회사들하고도 협력해 저희가 중간 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엔비디아의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탈엔비디아’ 흐름에 대해서도 네이버 또한 대안을 계속해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리벨리온 등 업체들이 만드는 NPU를 적극적으로 테스트하고, 좋다면 적용까지 하려 한다”며, “AMD, 인텔 등의 칩도 끊임없이 테스트하고 일부를 구매하거나 협력해 쓰기도 한다”고 했다.
디지털 트윈을 만드는 기술인 ‘아크(ARC)’에 대해서도 전 세계적인 경쟁력이 있다고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 이제 기본으로 쓰이는 기술”이라며, “지금은 2D 지도 기반이지만, 모든 게 디지털 트윈 기반으로 바뀔 거라 생각해 아크 기술 등이 활발히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