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온시큐어 “제로트러스트 기반 통합보안 기업으로 도약”
라온시큐어(대표 이순형, 이정아)가 화이트해커 전문기업에서 ‘제로트러스트를 선도하는 통합보안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순형 라온시큐어 대표는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시큐업 세미나’에서 “화이트해커 중심의 하이테크 기업에서 정보보호 통합 솔루션 기업으로 성장해 제로트러스트 보안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세계 3대 해킹방어 대회 석권 경험, 2000만명 이상이 등록한 생체인증 기술, 1000만명 이상의 인공지능(AI) 백신 사용자 경험 등을 회사의 핵심 자산으로 꼽으며, “단순 보안기술 기업을 넘어 글로벌 데이터 주권과 AI 융합 보안을 선도하는 통합 보안 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특히 “웹3와 인공지능(AI)의 결합이 데이터 주권 확립의 출발점이며, 이를 기반으로 제로트러스트 보안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웹의 진화를 “정보 공유(웹1.0), 이용자 참여(웹2.0), 데이터 소유와 보상(웹3.0)”이라며 “AI 시대의 가장 큰 위협은 ‘빅브라더’식 데이터 독점과 왜곡”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그는 “웹3가 데이터 주권을 확립해 AI 데이터 신뢰 프레임워크를 완성할 수 있다”며 “중앙 컨트롤타워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나 탈중앙자율조직(DAO)이 자율 의사결정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느냐는 우려가 있다. 하지만 AI의 빅데이터 분석·예측·최적화를 결합하면 웹3의 자율 의사결정 구조를 완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소버린 AI(Sovereign AI)’의 전제는 데이터 주권이며, 출발점은 웹3·AI의 융합”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 대표가 제시한 라온시큐어의 미래 전략은 세 가지다. 첫째는 제로트러스트다. 이 대표는 제로트러스트를 회사 보안 아키텍처의 핵심 축으로 못박았다. 이용자·단말·애플리케이션·데이터 경로 전반에 ‘항상 검증’과 ‘최소 권한’을 적용해, 웹3 기반의 분산 신뢰와 AI 기반의 동적 판단을 결합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웹3의 분산 신뢰와 AI의 실시간 분석을 결합해 데이터 신뢰 체계를 공고히 하겠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데이터 주권 기반의 웹3 신뢰 프레임워크’ 구축이다. AI가 신뢰 가능한 결정을 내리려면 ‘누가 생성했고 어떻게 검증됐는지’가 보증돼야 한다는 전제 아래, 라온시큐어는 웹3 철학의 핵심인 데이터 주권을 바탕으로 AI 데이터 신뢰 프레임워크를 확립한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웹3가 데이터 주권을 확립해 AI의 데이터 신뢰 프레임워크를 완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은 ‘웹3·AI 초연결 인증 플랫폼’이다. 라온시큐어는 온라인·오프라인·메타버스를 아우르는 초연결 인증 플랫폼을 제시했다. 디지털 신원, 접근통제, 트랜잭션 검증을 하나의 사용자 여정으로 통합해 분산 환경에서도 일관된 신뢰를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대표는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초연결 인증 플랫폼 기업으로 미래 데이터 주권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세미나는 ‘웹3 & AI로 연결되는 미래’를 주제로 열렸으며, 트랙A(웹3·AI 서비스와 솔루션), 트랙B(메타버스 기반 교육 플랫폼·패널토의), 트랙C(블록체인·AI 기반 모바일 신분증 해커톤 결선)으로 진행됐다. 해커톤에는 209개 팀이 참가해 최종 10개 팀이 결선에 올랐고, 수상팀은 행정안전부 장관상과 총상금 3000만원, 팀당 최대 10억원의 창업 자금을 지원받는다. 행사장 외부에는 블록체인, 제로트러스트, 양자내성암호, AI 기반 보안 등 라온시큐어의 최신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전시 부스도 마련됐다.
<관련 기사> 라온시큐어, ‘AI·양자내성암호·제로트러스트‘로 미래 전략 방향 제시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곽중희 기자> god8889@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