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토가 이야기하는 스테이블코인의 성공 조건
“간편결제 사업자가 스테이블 코인 시대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혼자서는 할 수 없습니다.”
이병규 네이버페이 혁신성장지원실 이사는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출격임박! 원화 스테이블 코인, 디지털 원화 시대 개막’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이사는 “스테이블 코인 사업은 단일 기업이 독점적으로 추진하기 어려운 영역”이라며 “안정적인 발행과 운영을 위해서는 발행사뿐 아니라 은행·블록체인 등 금융·기술 기업과의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각 주체가 지닌 인프라와 역량을 결합해야 발행 안정성, 결제 편의성, 보안성, 규제 준수 등 요소를 균형 있게 충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글로벌 결제 표준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개방형 네트워크를 기반의 상호운용성 확보가 중요하다”며 “업계 전반의 파트너십과 공동 표준 마련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정호 카카오페이 서비스 총괄은 원화 스테이블 코인 성공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사용처’를 꼽았다. 박 총괄은 “스테이블 코인의 장점을 체감할 수 있는 핵심 사용처에 대한 빠른 시도와 검증이 초기 안착을 위한 성공 요소”라고 꼽았다. 이를 위해 “핵심 사용처 발굴을 위해 규제 샌드박스 등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화폐와 상품권, 소비 바우처 등 정부 주도의 실 사용처 발굴을 통해 디지털 자산의 신뢰성을 강화해야 한다”며 “초기 이용자의 온보딩을 위한 혜택 재원과 인센티브 구조에 대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또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기술적 장점(즉시 정산 등)을 적용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발표자인 서창훈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사업개발 이사는 스테이블 코인이 성공하기 위한 핵심은 ‘발행’과 ‘유통’으로 꼽았다. 서 이사는 “발행 단계에서는 은행 수준 이상의 요건을 갖춰야 한다”며 “원화에 준하는 권한을 지닌 자산을 발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명성과 규제 준수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유통 단계에서는 일상에서 얼마나 폭넓은 사용처를 확보하느냐와 얼마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라며 “온·오프라인에서 스테이블 코인을 직접 결제 수단으로 쓰게 하고, 더 나아가 보유한 다른 가상자산이 자동으로 전환돼 결제에 활용될 수 있는 구조까지 준비해 보고 싶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