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영주 아이에셋경제연구소장 “인위적 코스피 5000은 부작용, 제도 안착이 관건”
“이재명 정부의 공약인 코스피 지수 5000을 인위적으로 달성한다면, 과거 국내 주식시장이 겪었던 여러 부작용을 겪을 수 있습니다. 현 정부 내에서 상법 개정안, 밸류업 프로그램 등이 제도적 기반으로 안착하고, 실질적인 효과를 낸다면 보다 빠르게 코스피 5000 포인트를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차영주 아이에셋경제연구소장은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새정부 경제정책 방향과 ESG 경영 대응 전략’ 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차 소장은 “코스피 5000 포인트 달성을 위한 가장 큰 걸림돌은 경제 성장률”이라며 “현 정부 출범 이전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제 성장률은 0.8% 수준으로, 새로 바뀐 경제 전망치는 아직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다행인 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경기선행지수 등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이라며 “이는 주요 경제 주체들이 향후 전망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번 추가경정예산(추경)에 포함된 소비 쿠폰 등 정책 효과로 경제성장률을 0.2%포인트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차 소장은 경제성장률이 1% 이상으로 회복될 경우, 이는 코스피 4000선 돌파를 이끌 수 있는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현 정부의 특징으로 과거와 달리 코스피 지수 상승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상법 개정안 등을 통해 지수 상승의 토대를 마련한 점에서 고무적이라고 봤다.
차 소장은 “현 정부는 주식 시장의 체질 개선을 통해 모든 서민이 시장에서 부의 소득을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코스피 5000 포인트가 가능하겠다는 질문에는 ‘언제 올지의 문제일 뿐, 당연히 와야 할 수치’라고 답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주식 및 자산 시장에서 기대감이 높게 형성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과거 어느 정부보다 정책의 구체성 측면에서 시장의 신뢰를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차 소장은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문제는 점차 해소되는 과정에 있고, 현 정부는 쪼개기 상장 등 주식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며 “과거에는 단순히 큰 틀의 문제만 다뤘다면 현재는 세밀한 부분까지 정부가 인식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정부의 정책이 향후 3차 추경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며 “자산 시장에서의 승수 효과, 즉 연쇄적으로 소득과 소비를 유발해 더 큰 경제 효과를 창출하는 결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