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이패스, LG유플러스 AI 기반 자동화 전환 지원

유아이패스는 LG유플러스에 AI 기반 자동화를 제공해 운영 혁신 및 자동화 역량 강화를 지원하고 있다고 1일 발표했다.

LG유플러스는 단순 반복 업무를 넘어, 비정형 데이터와 인간의 인지 판단이 필요한 복합 업무까지 자동화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지난 6월 10일 서울에서 열린 ‘유아이패스 에이전틱 오토메이션 서밋’에서 LG유플러스는 패널 연사로 참여해 자동화 여정과 에이전틱 자동화를 활용한 AI 비전에 대한 인사이트를 공유했다. 이 행사는 아시아태평양 14개 도시에서 진행되는 로드쇼의 일환으로, 유아이패스 고객과 파트너들이 모여 에이전틱 AI 및 자동화 기술을 논의하는 자리다.

[무료 웨비나] 아이덴티티 보안 없는 보안 전략은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습니다

◎ 일시 : 2025년 7월 15일 (화) 14:00 ~ 15:30
◎ 장소 : https://bylineplus.com/archives/webinar/53537

LG유플러스는 2018년 로보틱 프로세스 자동화(RPA)를 도입하며 자동화 여정을 시작했다. 초기에는 사내 시스템 중심의 반복 업무를 자동화했으며, 이후 현장에서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업무들을 모바일 앱 기반 디지털 입력 방식으로 전환하는 등 프로세스를 엔드투엔드(End-to-End, E2E) 자동화로 확장해왔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현재는 대규모 디지털 혁신을 위한 ‘에이전틱 자동화’ 도입을 본격화하고 있다.

LG유플러스의 대표적인 자동화 사례는 네트워크 장비 장애 대응 프로세스다. 과거에는 알람 발생 시 담당자가 수동으로 장비를 확인해야 했고, 이로 인해 대응 시간에 편차가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장애 자동 인지, 원격 제어 및 조치, 콜봇을 통한 데이터 수집과 자동 기록 등 일련의 과정을 표준화해 자동화했다. 그 결과, 일반적인 장애는 자동으로 처리되며, 직원들은 보다 고도화된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유아이패스의 ‘생성형 AI 액티비티(GenAI Activities)’와 사내 대규모 언어 모델(LLM) 서비스를 활용해 이미지·영상 등 멀티모달 데이터를 분석하고, 자연어 지시를 해석해 후속 RPA 작업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시스템도 구축 중이다. 이를 통해, LG유플러스 네트워크혁신팀은 LLM, 사람, RPA를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자동화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유아이패스의 새로운 오케스트레이션 레이어인 ‘유아이패스 마에스트로(UiPath Maestro)’를 활용해, 전체 프로세스를 직관적인 UI 환경에서 모델링부터 실행, 모니터링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LG유플러스의 전략적 자동화 접근 방식은 유아이패스의 자동화 성숙도 평가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LG유플러스는 자동화 전략, 과제 발굴 및 확산, 개인 주도 개발(시민 개발), 가치 창출, 운영 정책 등 5개 항목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자동화 성숙도를 달성했다. 특히 전략 수립부터 실행,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방위적인 성과를 인정받았다.

LG유플러스는 직원에게 자동화 기술을 직접 학습하게 하고, 자신의 업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민 개발자’ 육성 전략을 운영 중이다.

LG유플러스 네트워크혁신팀은 시민 개발자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사내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직원들이 자동화 역량을 갖추고, 잠재력 있는 인재를 발굴해 전문 시민 개발자로 성장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LG유플러스 박종원 AX실행담당은 “직원 스스로가 자신의 업무를 자동화하는 문화를 조성한 덕분에, 대규모 디지털 혁신을 더욱 신속하게 추진할 수 있었다”며 “이제 RPA 기반이 탄탄히 마련된 만큼, 에이전틱 자동화의 가능성을 적극 활용해 고객에게 더 빠르고 스마트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아이패스와의 협력을 지속해 나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아이패스코리아 조의웅 지사장은 “에이전틱 자동화는 검증된 RPA 기술, AI 모델, 그리고 인간의 전문성을 하나의 유기적인 워크플로우로 통합해, 사람과 로봇, AI 에이전트 간의 시너지를 극대화한다”며 “LG유플러스는 이러한 요소들을 원활히 통합하며 자동화 및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업계 리더로 자리매김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는 7년에 걸친 체계적인 자동화 경험과 시민 개발자 문화, 최신 생성형 AI 기술을 접목한 결과”라며 “LG유플러스의 에이전틱 자동화 여정을 지원하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고객에게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김우용 기자>yong2@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