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데라, 통신 인프라용 AI 표준 ‘AI-RAN 얼라이언스’ 합류

클라우데라는AI의 통신 인프라 통합 표준을 결정하는 글로벌 연합체 ‘AI-RAN 얼라이언스’에 합류했다고 20일 발표했다.

클라우데라는 AI-RAN 관련 의제를 추진하는 글로벌 통신사 및 데이터·AI 기업들과 협력하게 됐다.

통신 사업자에게 AI는 차별화된 기회를 제공한다. AI는 네트워크 서비스 효율성을 높여 더 나은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고 서비스 혁신을 위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분산된 엣지 환경 전반에 AI를 구축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통신 사업자는 무선 접속망(RAN) 전체에 AI를 대규모로 운영하고 상업적 잠재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하도록 기업 차원에서의 전략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무료 웨비나] 아이덴티티 보안 없는 보안 전략은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습니다

◎ 일시 : 2025년 7월 15일 (화) 14:00 ~ 15:30
◎ 장소 : https://bylineplus.com/archives/webinar/53537

AI와 통신 기술을 접목해 혁신을 추진하고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결성된 AI-RAN 얼라이언스에 창립 멤버인 엔비디아를 비롯해, 델, 소프트뱅크, T-모바일, KT 등이 참여하고 있다.

회원사는 기존 및 신규 네트워크에 AI를 통합하는 표준을 설정하고, AI 최적화를 위한 공유 인프라를 구축하며, 엣지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가속하고, 통신 업계가 AI를 안정적이고 수익성 있게 구축할 수 있도록 실제 검증 사례를 개발하고 있다.

기업용 AI 및 최신 데이터 아키텍처 분야를 선도하는 클라우데라는 확장 가능한 데이터 관리, 엣지-AI 오케스트레이션, 오픈소스 중심 접근 방식을 조합해 얼라이언스의 비전을 실현할 예정이다. 클라우데라는 하이브리드, 엣지, 온프레미스 환경 전반에서 통신 사업자들이 AI 워크로드를 배포, 관리,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독보적인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클라우데라는 신규 워킹그룹 ‘Data for AI-RAN’에 참여한다. 통신 및 AI 워크로드 전반에서 데이터 오케스트레이션, 대규모언어모델(LLM)을 활용한 네트워크 자동화, 하이브리드 환경 기반 ML옵스 표준화를 목표로 하는 워킹그룹이다. 여기에 데이터 및 AI 플랫폼 전문성을 제공하고, 데이터 및 AI 파이프라인을 통신 운영 환경에 맞춰 조정해 AI 기반 사용 사례의 혁신과 배포를 가속한다.

클라우데라는 얼라이언스의 세 가지 핵심 전략인 ▲AI-for-RAN ▲AI-and-RAN ▲AI-on-RAN을 지원한다.

클라우데라는 얼라이언스 회원사들과 협력해 SLA 기반 네트워크 가용성 확보, 실시간 이상 감지와 같은 실제 AI 애플리케이션을 시범 운영하고 배포하는데 기여한다. 이를 위해 통신 사업자가 실제 환경에서 바로 배포할 수 있는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구축 및 검증해 구현까지의 과정을 단축하고 모델 재사용성과 협업 효율을 최대로 높인다.

클라우데라는 자사의 플랫폼을 활용해 엣지에서의 실시간 의사결정, 확장가능한 학습 데이터 준비 및 ML옵스, 거버넌스, 관측 가능성, 엣지-코어 오케스트레이션을 가능하게 하면서 동시에 AI 추론을 구현한다.

최진성 AI-RAN 얼라이언스 의장이자 소프트뱅크 첨단기술연구소 수석 펠로우는 “클라우데라는 얼라이언스에 매우 중요한 일원”이라며 “AI 활용 확대와 성공에 대한 업계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얼라이언스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클라우데라의 데이터 및 AI 분야에서의 리더십과 광범위한 통신 네트워크 경험은 지능형 AI 기반 네트워크에 대한 공동 비전을 발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바스 리키 클라우데라 최고 전략 책임자(CSO)는 “네트워크는 통신 사업자 비즈니스의 핵심으로, 수익성 향상과 서비스 혁신 모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AI는 이 영역 전반에서 막대한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AI-RAN 얼라이언스의 회원사들과 함께 혁신을 더욱 가속화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클라우데라의 목표는 지능형, 적응형, AI 네이티브 차세대 네트워크를 가능하게 만드는 데이터 표준, 오케스트레이션 모델, 레퍼런스 아키텍처 정의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김우용 기자>yong2@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