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뭔가요] 논란 많은 배달앱 수수료의 세계

최근 우아한형제들이 운영하는 배달의민족(이하 배민)이 수수료를 인상한다고 발표해서 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배민은 거의 모든 음식점에서 사용하고 있는 배달 플랫폼으로, 대한민국 요식업 비즈니스의 인프라입니다. 그런데 갑자기 수수료를 대폭(3%p) 인상한다고 하니 곳곳에서 한숨이 나옵니다.

이에 대해 배민은 억울하다는 입장입니다. 수수료는 인상하지만 배달요금을 내리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인상하는 폭이 크지 않고, 인상되는 수수료조차 경쟁사와 같은 수준이라는 것입니다.

배달앱 수수료가 어떻게 구성돼 있길래 이렇게 논란이 많은지 알아봅시다.

배민의 수수료는 명목상으로 세계 최저 수준을 자랑합니다. 현재 공식 수수료율은 6.8%입니다. 이를 9.8%로 인상한다고 발표해서 논란이 벌어진 것입니다. 매출의 6.8%에서 9.8%로 인상되는 정도라면 아주 많이 부담되는 수치는 아닐 것 같은데 왜 이렇게 논란이 큰 걸까요?

기본적인 수수료는 많지 않지만 결과적으로 음식점 사장님이 내야 하는 금액은 적지 않기 때문입니다.

계산을 해보죠. 주문이 들어오면 기본적으로 6.8%의 수수료가 붙습니다. 부가세가 별도이기 때문에 0.68%의 부가세가 추가됩니다. 실질적으로 수수료는 7.48%인 셈입니다. 여기에 또 결제수수료가 붙습니다. 결제수수료는 PG (온라인 결제대행사) 수수료로, 1.5~3%가 추가됩니다. 배민에서 결제가 이뤄지면 사장님 입장에서는 최대 10.48%의 수수료를 내야 합니다.

배민 수수료 체계

음식점주가 배민에 내야 하는 금액은 여기에서 끝이 아닙니다. 배달비도 부담해야 합니다. 한집배달과 알뜰배달의 경우 음식점주는 배달비 부담액을 선택할 수 없습니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2500~3300원 정도의 배달비를 점주가 부담해야 합니다. 서울의 경우 3200원의 배달비를 부담합니다.

2만원의 주문이 들어왔을 때 음식점주가 배민에 내야하는 금액이 얼마인지 계산해보죠.

우선 기본 수수료 6.8%인 1360원에 부가세를 더하면 1496원이 수수료입니다. 여기에 신용카드로 결제했을 경우 최대 PG수수료 3%를 더하면 2096원이 수수료로 빠져나갑니다. 여기에 서울지역 배달비 3200원을 더해야겠죠? 합은 5296원입니다. 매출의 4분의 1이상이 배달을 위한 비용으로 지출되는군요. 주문액 1만원 기준은 4248원, 주문액 3만원 기준은 6344원입니다.

인상 전 배민 이용료

위의 계산은 배민 배달비 인상 전의 수수료를 기반한 것입니다. 그렇다면 인상된 이후에는 어떻게 될까요?

기본수수료 9.8%에 부가세 0.98%를 더하고, PG 수수료 1.5~3%를 더하면 됩니다. 이 경우 최대 13.78%가 수수료로 빠져나갑니다. 다만 배민은 수수료를 인상하는 대신 점주부담 배달비를 낮춰주겠다는 당근책(유화책)도 내놓았습니다. 2500원~3300원에서 책정되던 업주 부담 배달비를 전국적으로 1900원~2900원 수준으로 인하합니다. 서울의 경우 3200원에서 2900원으로 인하됩니다. 인상된 기준으로 음식점주의 배달플랫폼 이용료를 계산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인상 후 배민 이용료

배민의 주장처럼 배민의 수수료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은 아닙니다. 이번에 인상되는 수수료율은 쿠팡이츠가 그동안 받아오고 있던 수수료율입니다. 쿠팡이츠는 줄곧 9.8%의 수수료율을 유지해왔습니다.

보통 시장의 추격자가 1위를 따라잡기 위해 가격을 낮추는 것이 대부분인데 배달앱 시장은 1위 사업자의 가격이 가장 낮았다가 2위 사업자의 가격에 따라가는 흔치 않은 광경이 벌어졌네요. 플랫폼의 특성이 양면시장이어서 벌어진 광경입니다. 소비자 부담은 늘리지 않고 플랫폼 내 공급자의 부담을 늘리는 전략이죠. 소비자가 있는 한 공급자는 따라올 수밖에 없으니까요.

요기요는 3위 사업자인데 수수료는 가장 비쌉니다. 요기요는 기본 12.5%의 수수료를 받고 있습니다. 국내 업계 최고의 수수료율이네요. 시장 점유율 순위가 낮을수록 가격이 비싼 참으로 특이한 시장입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shimsky@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