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 올트먼 “오픈AI, 정부 보증 필요없다”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데이터센터 인프라에 막대한 투자를 하는 과정에서 정부 차원의 보증이 필요없고, 혹시 투자가 실패한다고 해도 정부의 구제금융은 원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올트먼 CEO는 6일 자신의 엑스(구 트위터)에 “명백한 점: 우리는 오픈AI 데이터센터에 대한 정부 보증을 보유하거나 원하지 않습니다. 정부는 승자와 패자를 가려서는 안 되며, 납세자들은 잘못된 사업 결정을 내린 기업을 구제해서는 안 된다고 믿습니다”라고 적었다.

이는 최근 오픈AI 최고재무책임자(CFO)가 정부의 지원을 기대하는 뉘앙스의 발언을 한 것을 수습하는 차원으로 풀이된다. 사라 프라이어 오픈AI CFO는 한 테크 컨퍼런스에서 AI 투자의 자금 조달 비용을 낮추고 대출 규모를 늘리기 위해 은행, 사모펀드뿐만 아니라 정부의 역할도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 기자가 “연방 보조금 같은 것을 의미하느냐”고 묻자, 프라이어는 “정확히는, 자금 조달이 가능하게 하는 백스톱(최종 보증)이나 ‘보증(guarantee)’을 의미한다”고 답했다.

이 발언은 오픈AI가 정부 구제금융을 원한다는 논란을 촉발했다. 이후 프라이어 CFO는 “백스톱이라는 단어를 잘못 사용해 논점을 흐렸다”고 해명했다. 단지 AI 경쟁력을 위해 민간뿐 아니라 정부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말을 하려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오픈AI에 투자된 금액이 너무 커서 실패할 수 없는 존재가 됐다는 분석이 있다. 은행의 경우 파산할 경우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너무 커서 정부가 구제금융으로 지원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픈AI가 그런 종류의 기업이 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올트먼 CEO의 발언은 이런 시각을 부정하는 것이다. 정부의 재정지원이나 안전망 없이 시장 원칙에 따라 투자·성장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다만, 올트먼 CEO는 정부가 자체 AI 인프라를 세우는 것은 타당하며, 반도체 제조 시설에 대해서는 정부의 대출보증 가능성을 논의한 적이 있다고 언급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심재석 기자>shimsky@byline.netwo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