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tGPT 품은 카카오톡, 덩치 더 커진다
카톡 대화하며 챗GPT 활용
선물하기 등 주요 서비스 연동
내년 플레이툴즈 열어 외부 서비스 연동 확대
카카오가 챗지피티(ChatGPT)를 핵심 축으로 덩치를 더 키운다. 쇼핑과 지도 등 카카오 주요 서비스를 연동했고, 내년부터 외부 서비스 연동을 확대한다. 탈메신저를 넘어 일상 전반의 쓰임새를 갖춘 슈퍼앱으로 도약을 노린다.
28일 카카오(대표 정신아)는 카카오톡에서 ChatG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ChatGPT for Kakao(챗지피티 포 카카오)’를 출시했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채팅탭 상단에 위치한 ChatGPT 버튼을 클릭해 바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간단한 질문부터 복잡한 요청까지 카카오톡 내에서 대화하듯 편리하게 활용 가능하다. ChatGPT의 답변을 채팅방에 공유하거나, 채팅방에서 대화 중 ChatGPT에 손쉽게 질문할 수도 있다. ChatGPT 가입이나 로그인 없이도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다. 단, 무료 이용자의 경우, ChatGPT 사용 시와 마찬가지로 사용 한도가 존재한다.
‘PlayMCP’가 출발점
유용하 AI에이전트플랫폼 성과리더<대표 사진>는 28일 카카오 판교 아지트에 마련된 프레스 행사에서 ‘플레이엠씨피(PlayMCP)’를 언급했다.
MCP는 AI 모델과 외부 도구, 서비스를 연결하는 표준화된 통신규약을 말한다. PlayMCP는 카카오가 베타 공개한 국내 최초 MCP 기반 개방형 플랫폼이다. 쉽게 말해 MCP 마켓플레이스다. 카카오 계정만 있으면 누구나 새로운 서비스를 PlayMCP에 등록하고 테스트할 수 있게 했다.
유 리더는 연례 개발자 행사인 ‘if(kakao)25’에서 강조했던 PlayMCP를 재차 꺼내 들었다. 당시 카카오는 AI가 녹아든 카카오톡의 큰 변화를 이끌 핵심 열쇠이자 서비스 포털의 역할로 PlayMCP의 중요성을 짚은 바 있다.
“카카오는 카카오톡에서 ChatGPT를 이용하는 모든 국민들이 생활 속에 다양한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는 AI 서비스 생태계를 만들려고 하고 있습니다. MCP는 이를 뒷받침하는 기술로 역할을 할 것이고요. 모든 분들이 다양한 MCP 툴을 실험하고 개선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사용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MCP 툴을 마치 앱 설치하듯이 쉽게 AI에 담을 수 있게 됩니다. 우리는 이것을 플레이 툴즈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카카오는 AI 서비스 생태계를 지향하고 있고 그 출발점에는 PlayMCP가 있습니다.”
일상 속 AI 경험 ‘카카오 툴즈’
카카오는 카카오의 다양한 서비스와 연동되는 ‘카카오 툴즈(Kakao Tools)’를 통해 풍부한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출시 시점에는 카카오맵, 카카오톡 예약하기, 카카오톡 선물하기, 멜론을 포함하고, 이용자의 요청에 따라 관련 서비스를 자동 연결하여 가장 적절한 답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합정역 근처에 크로플 파는 곳을 알려줘”라고 질문하면 Kakao Tools가 카카오맵을 호출하여 구체적인 위치와 정보를 제공하는 식이다. 예약이 가능한 경우, 예약과 결제까지 연결한다.
유 리더는 Kakao Tools를 “AI 에이전트”라고 정의했다. 유 성과리더는 ”액션의 완료”에도 방점을 찍으며, 복잡한 과정 없이 대화로 예약 완료까지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것을 강조했다.
카카오는 Kakao Tools에 카카오 그룹 내 서비스를 우선 반영한 뒤 추후 외부 서비스와의 협업을 통해 생태계를 한층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플레이 툴즈 유료화와 관련해선 생태계 확장이 우선으로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다.
“카카오는 그룹 내 금융, 모빌리티,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들의 연동을 준비하고 있고 그리고 외부 서비스가 하는 서드파티, 한국의 여러 서비스들과의 연동을 지금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공공기관과 AI 에이전트 네트워크를 함께 구축해 나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 일환으로 카카오는 어제 행정안전부와 AI 에이전트 부관 공공 서비스 업무 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카카오톡 내에 AI 공인인증서 시범 서비스를 연내에 선보일 계획으로서 이용자는 별도의 앱이나 로그인 절차 없이 카카오 대화만으로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AI가 알아서 선톡…‘카나나 인 카카오톡’
카카오는 지난 16일부터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카나나 인 카카오톡(Kanana in KakaoTalk) 베타테스트를 시작했다. 카카오톡 안에서 대화를 이해하고, 이용자의 상황과 맥락을 파악해 필요한 순간 AI가 먼저 메시지를 보내주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정보 검색, 장소 및 상품 추천 등의 다양한 활동을 제안하고, 매일 ‘선톡 브리핑’을 제공해 놓치기 쉬운 일정도 꼼꼼하게 챙길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식이다.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카카오톡 대화 이해를 위해 카카오가 자체 개발한 온디바이스 AI 모델 ‘카나나 나노(Kanana Nano)’를 활용한다. 카나나 나노는 한국어 벤치마크에서 같은 매개변수 규모의 글로벌 빅테크 모델 대비 20% 이상 앞서는 성능을 입증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경량화된 모델로 기기 내에서 동작 가능해 높은 수준의 프라이버시 안전성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강지훈 AI디스커버리 성과리더는 “온디바이스 모델 얘기에 배터리가 더 많이 나가는 거 아니냐 우려를 많이 하신다”면서 “하루에 추론 50회 정도 기준으로 저희가 시뮬레이션 해보니 핸드폰을 몇 번 열어보는 수준의 0.5% 미만 배터리(아이폰 베타 테스트)를 쓰는 것으로 실험 결과 드러났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카카오는 이용자 피드백을 반영해 내년 1분기 중 안드로이드로 서비스를 확대하고, 이후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온디바이스 AI 기능을 위해선 메모리 최적화 등 문제로 현재 테스트 기준 아이폰15프로 이상 기기가 가능하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향후 최적화에 따라 지원 기기가 달라질 수 있어 구체적인 답변은 하지 않았다.
카카오는 카나나 인 카카오톡은 이용자가 더욱 다양한 제안을 받아볼 수 있도록 ‘선톡 브리핑’ 대상도 점차 확장할 계획이다. 카카오 자체 서비스뿐 아니라, 외부 파트너와 협력해 이용자가 받아볼 수 있는 콘텐츠를 확대한다. 동시에 양질의 답변을 제공하는 특화 에이전트 개발 및 연동도 늘려나간다는 목표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