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자체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 출시
오픈AI가 자체 웹브라우저인 ‘챗GPT 아틀라스’를 공개했다.
오픈AI는 21일(현지시간) 자체 웹브라우저 ‘챗GPT 아틀라스’ 맥OS 버전을 출시했다.
챗GPT 아틀라스 브라우저는 맥OS 버전만 우선 제공되고, 모든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다.
챗GPT 아틀라스는 ‘AskChatGPT’ 메뉴에서 자연어로 질문을 하거나, URL을 입력해 결과를 볼 수 있다. 검색 링크, 이미지, 비디오, 뉴스 등의 탭을 선택해 채팅 이외 구체적 결과를 살펴볼 수 있다.
챗GPT 사이드바를 열어 언제든 하나의 창에서 작업의 요약, 분석 등을 처리할 수 있다.
모든 양식 필드에서 챗GPT를 실행해 탭 전환 없이 글을 쓰거나 편집할 수 잇다. 문서 내 텍스트를 강조 표시하거나 챗GPT 로고를 눌러 글쓰기를 할 수 있다.
브라우저 메모리 기능을 제공해 챗GPT가 웹 이용 정보를 기억했다가 채팅 응답에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설정에서 모든 메모리를 확인하고, 보관과 기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브라우저 메모리를 비활성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주소 표시줄의 토글을 이용하면 챗GPT에서 접근하고 메모리에 저장할 수 없는 사이트를 설정할 수 있다.
챗GPT는 사용자의 탐색 내용을 기억했다가 이전 페이지로 돌아가거나, 주제를 더 깊이있게 탐색하거나, 관련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거나, 일상적 작업을 자동화하는 등을 제안할 수 있다.

에이전트 모드를 챗GPT 플러스, 프로, 비즈니스 등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아틀라스에서 에이전트 모드를 활성화해 사용자를 대신해 작업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에이전트 모드에서 식단 계획 조사, 재료 목록 작성, 배달 가능한 장바구니에 식료품 추가 등의 작업을 에이전트로 완료할 수 있다. 중요한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사용자에게 질문하도록 만들어졌고, 사용자는 언제든 브라우저 에이전트의 작업을 중지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아틀라스 에이전트 모드는 시스템 액세스가 불가능하다. 브라우저에서 코드를 실행하거나, 파일을 다운로드하거나,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없다. 컴퓨터 파일 시스템 내 다른 앱에 접근할 수 없다. 컴퓨터에 저장한 비밀번호나 자동채우기 데이터는 챗GPT에서 이용할 수 없다. 쿠키도 사용하지 않는다.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AI는 브라우저의 가능성을 재고할 수 있는 10년에 한번 나올까 말까 한 귀한 기회를 제공한다”며 “이전에 사람들이 인터넷을 사용하던 방싟에서 URL 표시줄과 검색창이 훌륭한 아날로그였던 것처럼, 채팅 경험과 웹브라우저도 빠르게 아날로그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픈AI의 브라우저 프로젝트는 올해 조금씩 알려졌다. 업계는 오픈AI의 브라우저 출시로 구글의 크롬 브라우저 독점 체제에 균열을 낼 것으로 예상해왔다.
주간활성사용자 8억명을 보유한 챗GPT가 아틀라스를 통해 기존 사용자를 흡수하면 구글 크롬의 입지가 강하게 흔들릴 수 있다.
문제는 기존 웹사이트와 콘텐츠 제공자의 대응이다. 전통적인 웹 검색은 사용자를 콘텐츠로 유입시켰지만, 생성형 AI는 요약을 제공해 사용자의 원본 콘텐츠 방문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인다.
오픈AI가 구글처럼 광고 사업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 향후 아틀라스를 통해 챗GPT가 이용자 맥락을 파악해 사용자 브라우저 창에서 타깃 광고를 노출할 수 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김우용 기자>yong2@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