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건 “토스답게 일하는 방식, 악성 톱다운과 달라”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대표가 ‘토스답게 일하는 방식’에 대한 철학을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밝혔다. 이번 발언은 카카오톡 개편을 둘러싼 내부 반발과, 이를 주도한 토스 출신 홍민표 카카오 최고제품책임자(CPO)를 향한 비판 여론이 겹치는 시점에 나와 관심을 모은다.
1일 이 대표는 페이스북 글을 통해 토스의 핵심 문화로 ‘DRI(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 직접 책임자)’ 체계를 강조했다. 그는 “토스답게 일하는 문화의 핵심은 DRI가 강력하게 자리 잡고 있다”며 “이는 실제 실무를 담당하는 팀원들이 회사를 대표하는 결정을 내리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이어 “임원도, 다른 구성원도 특정 실무자의 업무에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어야 한다”며 “만약 임원의 강력한 의견만 존재한다면 그것은 악성 톱다운 문화일 뿐이고 토스의 방식과는 무관하다”고도 말했다.
이 대표는 또 자율적 의사결정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모두가 인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 과정에서 특정 팀원의 결정이 회사 전체에 피해를 주더라도 그 책임을 개인에게 떠넘기거나 조롱하는 것이 아니라 공동의 결정으로 받아들이고, 임원과 팀원 모두가 함께 문제를 해결하려는 태도를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피해를 일으킨 팀원을 외부화하거나 조롱하는 것은 토스답게 일하는 방식이 아니”라고 밝혔다.
이번 글은 공교롭게도 최근 카카오 내부에서 불거진 조직 문화 논란과 맞물리며 해석이 엇갈리고 있다. 카카오는 최근 카카오톡 친구 탭 개편을 추진하며 사용자와 직원들 사이에서 반발을 불러왔다.
개편을 총괄한 홍민표 CPO를 향해 카카오 블라인드 등 익명 커뮤니티에서는 ‘현장의 의견을 무시하고 밀어붙였다’는 불만이 제기됐고, 일부는 이를 토스 문화와 연결 지어 비판하기도 했다. 홍 CPO가 토스 출신이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토스 대표가 직접 ‘악성 톱다운’ 문화를 경계하는 메시지를 내놓으면서, 사실상 카카오 내부 상황을 염두에 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다만 토스 측은 이번 글이 특정 회사를 겨냥한 것이 아니라, 평소 이 대표가 갖고 있던 조직문화 철학을 정리해 공유한 것이라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시점과 맥락상 카카오 사태와 연결될 수밖에 없는 만큼, 향후 토스와 카카오 양측의 조직 문화 운영 방식에 대한 외부의 관심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