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기술, 국회서 교육 인프라 혁신 전략 발표

나무기술(대표 정철)은 서비스형 데스크톱(DaaS) 활성화 필요성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한 토론회에서 “차별 없는 교육 환경의 해법은 DaaS”이라고 강조했다.

나무기술은 지난 12일 국회 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인공지능(AI) 대전환 시대, DaaS 기반 K12∙대학의 글로벌 인재양성 혁신전략 국회 토론회’에서 ‘DaaS, 차별 없는 교육 환경을 만드는 AX 시대의 핵심 인프라’를 주제로 발표했다. 토론회는 됐다.

발표자로 나선 문성규 나무기술 전무는 “AI 기술이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교육도 이에 맞게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며 “DaaS가 이러한 변화에 적합한 구조를 갖춘 인프라”라고 설명했다.

다음으로 교육 형평성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문성규 전무는 “강원도에서 제주도까지, 큰 대학과 작은 대학을 가리지 않고 모든 학생과 교수들이 공정한 조건에서 학습할 수 있어야 한다”며 “지역과 규모에 상관없이 균등한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AI 교육에서는 단순히 장비 문제가 아니라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이 균등하게 제공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문 전무는 “보안 측면에서는 DaaS가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안전한 체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점을 짚었다. 따라서 DaaS가 교육 환경 개선의 해법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나무기술 측은 “이번 발표를 통해 기조발제 2부의 주제인 ‘누구나∙언제든∙어디서 가능한 AI 네이티브 유니버시티 구현(Anyone∙Anytime∙Anywhere 가능한 AI Native University구현)’을 뒷받침했다”며 “DaaS 필요성 확대를 통해 교육 격차 해소와 국산 DaaS 생태계 활성화에 의미를 더했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최가람 기자> ggchoi@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