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PB 납품 후 매출·순이익 증가…소기업일수록 효과 커”

국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유통업체 자체브랜드(PB) 납품을 통해 매출과 순이익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얻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3일 한국온라인쇼핑협회와 한국유통학회가 진행한 웨비나에서 한양대학교 강형구 교수 연구진은 국내 중소기업이 PB 납품을 통해 기업당 순편익 연평균 2만5000만원을 얻는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응답 기업의 66.4%가 ‘플러스 효과’를 경험했다.

연구진은 지난 7~8월 국내 대형마트 및 온라인유통사에 PB제품을 납품 하는 전국 중소기업·소상공인 233곳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 응답을 분석했다.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6.42% 수준이다.

협회는 기존 조사들이 매출변동·만족도 조사 같은 단편적 지표에 머물렀다면,이번 조사는 납품기업이 실제로 체감하는 총체적 경제적 가치(순편익)를 정량 적으로 계량한 종합 분석이라고 설명했다.

강 교수는 “분석 결과, PB 계약이 중소기업에게 실질적 경제적 편익을 제공하는 것으로 확인된다”며 “연평균 2.5억원의 순편익은 중소기업의 매출규모를 고려할 때 상당한 수준이며, 이는 PB 계약이 단순한 거래관계를 넘어 기업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또 연구진은 PB 계약 납품 시작 당월을 100으로 설정한 매출 지수를 중심으로 납품 전후의 매출 추이를 추적했다.

분석 결과, 직원 5~29명 소기업의 성장세가 가장 높았으며, 전라도와 제주, 경상권 등 비수도권일수록 성장폭이 가팔랐다.  총매출에서 PB제품의 기여도 역시 소규모 기업일수록 컸다.

업종별로는 신선식품 기업 순편익이 평균 24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오피스와 사무용품 업종도 플러스 효과를 나타났다.

거래 유통사별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두 가지 형태의 유통사에 동시 납품하는 경우 순편익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됐다. 또 온라인과 편의점, 대형마트와 편의점 병행 효과가 상위권에 자리했다.

중소기업 PB납품의 가장 큰 장점은 거래 안정성과 예측 가능성이 꼽혔다. 조사 기업의 71.7% 는 “PB 납품이 생산·납기 계획의 예측 가능성을 높였다”고 답했으며, 반품·불량률은 대체로 기존과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됐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대다수는 현재 수준을 유지하거나 거래를 확대하고 싶다고 답했다. 확대 의사를 밝힌 기업은 76.8%, 유지는 22.3%, 축소나 중단 응답은 0.9%로 나타났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