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경석 두나무 대표 “스테이블 코인 활성화 핵심은 거래소”

“스테이블 코인 초기 활성화의 핵심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통한 유통 역량에 달려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로 적극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9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에서 이같이 밝혔다.

오 대표는 “달러 기반 스테이블 코인의 시가총액을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며 “대형 디지털자산 거래소가 주요 유통을 담당하고 있는 스테이블 코인은 시가총액이 230조원, 90조원 정도에 이른다”고 말했다. 이어 “반면 더 많은 고객이 사용하는 결제 핀테크사에서 출시한 스테이블 코인은 시가총액이 1조6000억원에 머무르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스테이블 코인 초기 활성화의 핵심은 디지털 자산 거래소를 통한 유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업비트가 원화 기반 스테이블 코인을 지원한다면 한국의 금융이 아시아를 거쳐 글로벌로 진출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밝혔다.

오 대표는 업비트를 미국 1위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와 비교했을 때 파생 상품 거래가 불가하고, 내국인만 가입이 가능하며, 법인 거래도 시범적으로만 허용돼 있어 사업 영역 측면에서 불리하다고 말했다.

이에 그는 “미국에서 할 수 있는 디지털 자산 관련 사업이 한국에서도 가능하도록 정책적 지원이 있다면, 두나무는 국가대표 선수로서 글로벌에서 당당하게 경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두나무는 금융에 친화적인 블록체인을 내놓을 예정이다. 기와는 고객확인(KYC), 자금세탁방지(AML)을 고려한 블록체인으로 안정적인 스테이블 코인 발행 및 유통 지원이 가능하다.

또한 디지털자산 거래에 필수적인 기와 월렛(지갑)을 지원할 예정이다. 월렛으로 기존 웹2.0뿐만 아니라 웹3.0 서비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오 대표는 “개발자 측면에서는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디앱) 개발에 친화적인 도구를 제공해 생태계를 활성화할 것”이라며 “업비트 이용자와 연동해 간편하게 KYC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탑 트래블룰 솔루션인 ‘베리파이 바스프’도 준비하고 있다”며 “가상자산사업자가 디지털자산을 주고받을 때 확인된 계정에 대해서만 입출금 하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솔루션은 30개국 진출, 150개의 가상자산사업자(VASP)를 연결해 누적 1800만건의 입출금을 검증했다”고 설명했다.

이 외에도 두나무는 법인의 디지털 자산 투자가 허용된다면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보관 및 관리하려는 수요에 대응해 ‘업비트 커스터디’를 출시했다. 보안 측면에서는 고객의 자산을 콜드 월렛(오프라인 지갑)에 100% 보관해 해킹 등 위협을 차단했고, 다중 관리 체계를 도입해 단일 키 유출로 인한 사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