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훈 장관, AI 스텝업 전주기 인재양성 간담회 개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서울 FKI 타워에서 ‘AI 스텝업(Step-up) 전주기 인재 양성 간담회’를 열고 국내 인공지능(AI) 인재 성장을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과기정통부는 간담회를 연 배경으로 글로벌 AI 인재 확보 경쟁이 심화되면서, 국내 학사 및 석박사, 더 나아가 신진연구자에 이르기까지 전 주기적 AI 인재 양성체계 마련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또, AI 신진연구자는 연구 생애주기 중 가장 창의적이고 역동적인 시기에 있어, 미래 AI를 이끌어갈 핵심 주체라고 덧붙였다.
이날 간담회에는 AI 최고급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이하 AI스타펠로우십)에 참여하고 있는 국대 대학 총장·부총장, AI대학원협의회장, AI분야 신진연구자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AI·SW 분야 학부생이 AI 대학원을 거쳐 우수 신진연구자로 성장하고, AI 최고 석학으로 도약하기 위한 정책적 과제와 지원 필요 사항에 대해 논의했다.
먼저, 정보통신기획평가원은 ‘전주기 AI 핵심인재 육성방안’이라는 주제로, 국가 간 최상위 AI 인재 전쟁에 대해서 소개했다.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을 위한 수준별 AI 인재 육성방안과 AI·SW 중심대-AI대학원-AI스타펠로우십 사업을 연계한 전주기 인재 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뒤이어, 이재구 국민대 교수는 ‘(신진교수의 관점에서 본) AI 최고급 인재양성 방안’에 대해서 이야기했다. 이재구 교수는 AI스타펠로우십 2025년 신규 과제의 연구책임자 겸 신진연구자다. 이 교수는 신진연구자의 관점에서 AI R&D 지원의 체감 정도에 대해 분석했다. 그는 연구 지원, 행정 지원, 성과 보상 등 많은 연구자들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그 밖에 참석자들은 AI 중·고급인재 양성 방향과 전 주기에 걸친 AI 인재 양성 방안 등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고 수준의 AI 인재는 단기간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학생 시절의 배움부터 연구자로서의 치열한 도전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 걸쳐 역량이 길러진다”며 “과기정통부는 앞으로도 연구·교육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역량 있는 학생이 다음 단계로 자연스럽게 성장할 수 있도록 연속성 있는 AI 인재 지원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우리 AI 인재들이 세계 AI 무대를 이끄는 주역으로 거듭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최가람 기자> ggchoi@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