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스테이지, AWS와 협력해 아태 지역 및 미국 시장 진출
업스테이지는 아마존웹서비스(이하 AWS)와 전략적 협력으로 아시아태평양(APAC)과 미국에서 공동 판매 및 시장 진출 활동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솔라 언어모델 개발을 고도화해 고성능 및 비용 효율적 생성형 AI 기술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한다.
업스테이지는 이번 협력으로 자사의 우선 클라우드 제공업체로서 AWS와 협력하고, 향후 파운데이션 모델을 구축·훈련·배포하는 데 AWS 인프라를 활용할 계획이다.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AWS 트레이니움, AWS 인퍼런시아 칩 등 AWS의 머신러닝 인프라를 활용해, 자사 대규모 언어 모델(LLM) 솔라와 AI 기반 문서 처리 솔루션 제품군을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김성훈 업스테이지 대표는 “업스테이지와 AWS는 수년간의 협업을 통해 굳건한 기반을 다져왔으며, 이번 협약은 전 세계 AI 혁신을 가속화하려는 양사의 공동 비전을 실현하는 새로운 장을 의미한다”며 “AWS와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더 많은 공공기관에 안전하고 지능적이며 고성능의 AI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양사는 정부기관, 공공기관, 규제 산업 분야에 공공 부문의 성능, 보안, 컴플라이언스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최고 수준의 생성형 AI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약에 따라 업스테이지와 AWS는 아태 지역과 미국에서 시장 진출 전략 및 공동 판매 활동을 협력해 나간다.
존 존스 AWS 글로벌 스타트업 및 벤처캐피털 총괄 부사장은 “AWS는 업스테이지가 새로운 혁신의 물결을 일으킬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며 “완전관리형 AI 서비스부터 파운데이션 모델 훈련 및 추론을 위한 전용 칩까지, 업스테이지는 AWS를 활용해 공공 부문 이해관계자들이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이는 동시에 모든 사람의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AI 활용 방식을 한 단계 끌어올리고 있다”고 밝혔다.
양사는 다년간 협력해 왔다. 업스테이지는 오랫동안 아마존 세이지메이커를 활용해 솔라 모델을 훈련해 왔다. 이를 통해 고도화된 데이터 전처리 및 연속적 사전 훈련 기법을 통해 훈련 시간을 크게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AWS 인프라를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깊이 확장 스케일링(DUS) 방법을 구현해 더욱 효율적인 확장과 향상된 모델 성능 개선을 가능하게 했다고 덧붙였다.
업스테이지의 대표 모델군 솔라는 107억 매개변수의 솔라 미니(Solar Mini)와 220억 매개변수의 솔라 프로(Solar Pro)를 포함해 아마존 베드록 마켓플레이스,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점프스타트, AWS 마켓플레이스에서 제공하고 있다. 이들 모델은 한국을 비롯해 아태 지역 및 미국의 ▲금융 ▲의료 ▲법률 ▲교육 ▲공공 부문과 그 밖의 지역 수백 개 조직에서 AI 기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아비짓 무줌다르 아마존 기업개발 부사장은 “업스테이지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핵심 AI 혁신기업으로 자리매김했고, 이번 투자를 통해 솔라 파운데이션 모델과 문서 처리 솔루션을 확장하는 업스테이지의 다음 성장 단계를 지원하게 되어 기쁘다”며 “우리는 업스테이지와 같은 비전 있는 기업을 지원함으로써 생성형 AI 분야의 지속적인 혁신을 촉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최가람 기자> ggchoi@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