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C AI, 14년 축적 노하우로 독자 AI 국가대표 도전

NC AI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선정됐다고 4일 밝혔다.

NC AI는 지난 14년 동안 쌓아온 꾸준한 연구 노력과 긴 호흡의 전략적 투자, 그리고 올해 2월 정식 분사 이후 6개월 만에 보여준 눈부신 속도감 있는 성과들이 종합적으로 인정받은 결과라고 강조했다.

NC AI는 지난 2011년 엔씨소프트 내부에서 독립된 형태의 AI 조직을 세우며 장기적 R&D 비전을 꿰뚫고 일관된 기술 목표를 설정해 왔다. 감정형 음성합성 기술, 게임 시나리오 기반의 자연어 처리(NLP), 얼굴 모션 애니메이션 처리, 3D 비전 기반 로보틱스 연구 등 오랜 시간 기술을 축적해 왔다. 내재화된 기술 자산이 파운데이션 모델 분야의 초석이 됐다는 설명이다.

NC AI는 올해 초 독립법인으로 분사한 뒤 반년 만에 국가 전략 프로젝트의 대표 기업으로 발돋움했다고 평가했다.

NC AI는 ‘그랜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주도했다. NC AI를 중심으로 ▲ETRI, KAIST,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 에이아이웍스, 포스코DX, 롯데이노베이트, HL로보틱스, 인터엑스, 미디어젠, 문화방송, NHN 등 14개의 국내 산학연 기업·기관과 ▲롯데·포스코의 주요 그룹사 등 40곳의 수요기업을 포함해 총 54개 기관이 프로젝트로 뭉쳤다.

NC AI는 대표 모델로 바르코 LLM(VARCO LLM)과 바르코 비전 2.0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 공개한 바르코 비전 2.0은 140억과 17억 파라미터로 구성됐다. 회사는 작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동급 SOTA 멀티모달 모델을 뛰어넘는 성능을 보여 여러 벤치마크 탑티어 성적을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컨소시엄이 설정한 과제는 ‘산업 AI 전환을 위한 확장 가능한 멀티모달 생성용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로 ▲글로벌 최고 성능 200B급 독자 대규모 언어 파운데이션 모델 패키지 개발 ▲독자 LLM 기반 통합 멀티모달 인지 생성 파운데이션 모델 패키지 개발 ▲독자 AI의 산업 확산을 지원하는 ‘도메인옵스’ 플랫폼 구축 및 서비스 ▲제조·유통·로봇·콘텐츠·공공 산업을 위한 산업 특화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을 목표로 본 프로젝트에 임한다.

컨소시엄은 도메인옵스 플랫폼 사업 및 B2B SI 사업 연계를 통한 산업 AI 전환을 지원하고, 모델 공개와 다양한 추론 프레임워크·포맷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활용성과 기기 호환성을 극대화해 파운데이션 모델을 확산하며, 멀티모달 인지·생성 기술을 기반으로 대국민 정부 서비스를 연계, AI 생태계 구축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회사 측은 “이번 선정은 14년간의 뚝심 있는 투자와 집요한 연구, 그리고 그 결과물을 인정한다는 상징적 가치와 함께, NC AI는 ‘게임사 내 연구조직’이 아닌 진정한 국가대표 AI 전문기업”이라며 “각고의 노력 끝에 NC AI가 독립 6개월 만에 이뤄낸 초고속 성장의 바탕 역시 결코 단기 트렌드가 아닌 오랜 기간 쌓아 올린 신뢰와 전문성의 결실임을 입증한다”고 강조했다.

NC AI는 이번 국가대표 선정을 기점으로 ▲차세대 바르코 시리즈 고도화 ▲산업특화 LLM 개발 ▲멀티모달 AI 기술 고도화 ▲인재양성 기관과의 협력 ▲분야별 현장 맞춤형 AI 실증 확대 등을 단계별로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연수 NC AI 대표는 “이번 성과는 결코 NC AI만의 것이 아니라 함께해준 연구기관과 기업들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며, 기술은 결국 사람이 지켜야 하고 진정성 있게 쌓는 것만이 국가와 산업을 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NC AI는 앞으로도 기술 독립과 산업 실증, 글로벌 공헌을 동시에 실현하는 대한민국 AI 전문 기업으로서의 소명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최가람 기자> ggchoi@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