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플레이스 AI 브리핑 적용 후 체류 시간·클릭률 두 자릿수 증가”

네이버는 지난 6월 시작한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시작 이후 체류 시간과 클릭률 등 주요 지표가 크게 늘어났다고 21일 밝혔다. 또 식당과 카페 등 장소 탐색 경험을 한 층 효율화하며, 사업주의 영업 활동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21일 네이버에 따르면 플레이스 AI 브리핑은 네이버 플레이스에 등록된 식당과 카페 등 업체에 관한 최신 리뷰를 AI가 요약해 제공하는 서비스다. 방대한 리뷰에서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주요 특징 등 핵심 정보를 한 눈에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 앱이나 지도 앱을 통해 특정 업체를 검색하면, AI가 분류한 사진 정보와 실사용자 리뷰를 바탕으로 대표 메뉴의 특장점, 장소의 분위기와 특징, 유의사항·예약 여부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네이버는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들은 도입 이전과 비교했을 때 플레이스 검색 영역에서의 사용자 체류 시간이 늘어나고 추가 탐색 활동도 더욱 활성화됐다고 강조했다.

회사에 따르면 업체 정보에 대한 사용자 관심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인 사용자 평균 체류시간은 도입 이전과 비교해 10.4% 늘어났다. 또 사용자의 관심을 반영한 추가 탐색 활동을 의미하는 클릭률은 27.4% 증가했다.

또 실제 업체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더보기’ 탭의 클릭률은 137% 늘었고, 메뉴 더보기는 30% 증가했다.

예약 건수도 늘어났다. 네이버가 AI 브리핑이 적용된 업체를 대상으로 AI브리핑 노출 이전과 이후의 예약·주문 건수를 비교한 결과 약 8% 증가했다.

네이버는 사용자가 AI 브리핑을 통해 잘 요약된 정보를 확인한 뒤, 세부 정보를 추가 탐색하기 위해 상세 메뉴 탭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는 것을 방증한다고 강조했다.

향후 네이버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플레이스 AI 브리핑 검색 경험을 한층 고도화할 계획이다. 현재는 상호명 검색어에만 AI 브리핑 결과를 제공하고 있는데, 향후에는 ▲음식점 주차 여건 ▲아기 의자 제공 여부 등 탐색 대상 장소 관련 부가 정보를 묻는 검색어에 대해서도 AI 브리핑으로 답변을 제공할 예정이다.

음식점·카페뿐만 아니라 숙박, 미용, 명소 등 다양한 업종에 AI 브리핑을 적용해, 장소 질의에 대한 커버리지를 연내 두 자릿수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네이버 플레이스 검색&콘텐츠 총괄 최지훈 리더는 “네이버 플레이스에 누적된 양질의 리뷰 데이터가 AI 브리핑의 품질과 정확도를 높이면서 이용자들의 정보 탐색과 선택에 실질적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 “플레이스 AI 브리핑이 이용자에게는 장소 탐색 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여주고 사업주의 영업 활동에도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서비스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고도화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