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인드라이프 “2030년까지 인도 K뷰티 시장 2조원 돌파 전망”

인도 내 K뷰티 시장이 2024년 4억달러(약 5500억원)에서 2030년 15억달러(약 2조8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인도 Z세대 중심의 뷰티 플랫폼 카인드라이프는 19일 인도 시장 조사·데이터 분석 기업인 데이텀 인텔리전스(Datum Intelligence)와 공동으로 인도 내 한국 뷰티 브랜드의 성장세를 다룬 리서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내 K뷰티 시장은 오는 2030년까지 15억달러(약 2조800억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25.9%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인도의 뷰티 및 퍼스널 케어(BPC) 시장만 보면 2030년까지 약 450억 달러(한화 약 62조 6,0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성장률(CAGR)은 약 12%에 이를 전망이다.

또 구매자 수도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인드라이프와 데이텀 인텔리전스는 2024년 기준 약 1190만 명 수준이었던 한국 뷰티 제품 구매자는 2030년 2700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양사는 젊은 인도 소비자를 중심으로 K-컬처의 영향력이 음식, 언어, 뷰티 등 소비 전반에 깊이 스며든 결과라고 분석했다. 인도의 Z세대는 프리미엄 제품을 선호하고, 문화적 친밀감과 고품질·고효율·가성비를 모두 중시하는 소비 패턴을 보여준다.

또 한국식 ‘10단계 루틴’은 인도 소비자 사이에서 5~7단계의 실용적 루틴으로 현지화됐다. 소비자의 60% 이상은 하루 3~6개 제품을 꾸준히 사용하며 루틴에 대한 충성도를 보였다. 특히 초기 사용자들은 모이스처라이저, 뷰티 디바이스, 마스크, 세럼, 선크림 등 다양한 제품을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루틴에는 충성하지만 브랜드에는 유연한 소비 패턴을 보였다.

제품 발견 경로 조사 결과에서는 소비자의 81%가 유튜브를 통해 제품을 알게 됐고 70% 이상이 K-팝 아이돌이 추천한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했다.

또한 응답자의 80%는 리뷰와 영상을 통해 제품을 꼼꼼히 검증했으며, 매월 1000~3000루피(한화 약 1만5000원~4만5000원)를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소비 패턴은 인도 고급 뷰티 시장의 성장세를 이끄는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카인드라이프의 라디카 가이 대표는 “이번 리서치는 뷰티 브랜드들이 소비자의 화장대에 직접 접근할 수 있는 최초의 기회”라며 “인도 현지 소비자들은 온오프라인 경험, 올바른 커뮤니티를 통해 제품을 느끼고 배우길 원하며, 셀프 케어를 자기 표현의 한 형태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문화는 유행을 넘어 인도의 새로운 문화 현상이 되고 있다. 인도 K-뷰티 시장은 개척 준비가 끝난 매력적인 시장이며, 우리는 그 최전선에 서 있다”고 덧붙였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