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 2분기 영업이익 548억원…전년 대비 65.4% 감소
LG생활건강은 2025년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6049억원, 영업이익 548억원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 65.4% 감소했다.
북미와 일본 사업은 계속해 성장했지만, 전반적으로 경기 회복이 더디어진 점이 실적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화장품 사업부는 20여년 만에 적자 전환했다. 해당 사업부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9.4% 감소한 6046억원, 영업손실은 163억원이다. 회사는 헬스앤뷰티(H&B)숍과 북미 아마존, 일본 등 주력 채널은 고성장했지만 시장 경쟁 심화로 원가 부담이 확대된 점, 면세와 방판 등 전통 채널 재정비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LG생활건강은 화장품 사업부의 미래를 위한 마케팅 투자를 지속했다고 덧붙였다. 궁중 피부과학 럭셔리 코스메틱 ‘더후’는 지난 5월 미국 뉴욕에서 열린 세계적인 예술 박람회인 ‘프리즈 아트페어’에서 하이엔드 안티에이징 화장품 ‘환유’를 선보였다. 또 LG전자가 운영해온 미용기기 브랜드 ‘LG 프라엘(Pra.L)’의 브랜드 자산을 인수해 ‘LG프라엘 수퍼폼 갈바닉 부스터’와 전용 화장품 ‘글래스라이크’를 론칭했다.
생활용품(HDB) 사업부는 해외 프리미엄 브랜드 판매 호조로 매출이 증가했으나, 고정비와 마케팅비 증가로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했다. HDB의 2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 늘어난 5420억원,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7.1% 줄어든 286억원이다. 특히 닥터그루트(헤어케어)는 북미 아마존 및 틱톡 채널을 중심으로 인지도가 빠르게 확산되면서 올 상반기에만 매출이 전년 대비 800% 신장했다. 유시몰(오랄케어)도 일본과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브랜드 입지가 강화되고 있다.
음료 사업부는 내수 소비 둔화와 비우호적 날씨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2분기 음료 사업부문의 매출은 4583억원, 영업이익은 42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4.2%, 18.1% 하락했다.
LG생활건강의 2분기 해외 매출을 보면, 북미와 일본이 각각 6.4%, 12.9% 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중국은 8.0% 하락했다.
2025년 상반기 전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3% 감소한 3조3027억원, 영업이익은 36.3% 감소한 1972억원이다.
올해 상반기 사업부별 실적을 구체적으로 보면, 화장품 부문의 매출은 전년 대비 11.5% 감소한 1조 3127억원, 영업이익은 70% 감소한 426억원이다. HDB는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조 1153억원, 65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1%, 3.5% 증가했다. 음료 사업부의 상반기 매출은 같은 기간 4.2% 감소한 8747억원, 영업이익은 14.4% 감소한 893억원이다.
한편, LG생활건강은 이날 이사회에서 지난해 11월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방안으로 발표한 ‘중간배당 및 자사주 소각 계획’을 이행하기로 의결했다. 중간배당은 보통주와 우선주 동일하게 1000원으로 결정하고, 8월 18일 기준 주주를 대상으로 같은 달 29일까지 지급할 예정이다.
또 LG생활건강은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 중 보통주 31만 5738주도 다음달 14일 소각하기로 했다. LG생활건강은 현재 보통주 95만 8412주와 우선주 3438주를 갖고 있다. 소각 후 남은 자사주는 밸류업 방안에 따라 오는 2027년까지 전량 소각할 계획이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현재 운영 중인 사업의 성장과 M&A(인수합병)를 통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등 근본적인 기업 가치를 개선하는 것이 최우선”이라면서 “미래 성장을 위해 과거와 동일하게 M&A에 적극적인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