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스게이트, ‘양자보안·SSL VPN’으로 사이버 위협 차단 나서

양자난수·양자내성암호 기반 보안 플랫폼 구축

엑스게이트(대표 주갑수)는 자체 개발한 양자보안 플랫폼 ‘AX-Quantum’과 검증된 SSL 가상사설망(VPN) 솔루션을 앞세워 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한다고 23일 밝혔다.

최근 통신·금융·일반 기업을 겨냥한 대규모 해킹 사고가 잇따르면서, 기업의 정보 자산 보호가 중요한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엑스게이트는 자체 검증을 마친 암호모듈 기반의 양자암호 기술과, 수년간 보안 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은 SSL VPN 솔루션을 기반으로 시장 대응에 나섰다.

엑스게이트는 상반기 자사 양자보안 브랜드 ‘AX-Quantum’의 특허청 상표 등록을 마쳤으며, 하드웨어 기반 양자난수생성기(QRNG)와 소프트웨어 기반 양자내성암호(PQC)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QRNG는 예측 불가능한 암호키를 생성하는 암호모듈로, KCMVP(검증필 암호모듈) 인증을 받은 기술이다. VPN에 탑재돼 현재는 물론 양자컴퓨팅 환경에서도 해독이 어려운 통신을 지원한다. 해당 기술은 드론, 무전기, 웨어러블 시스템 등 다양한 산업군에 적용되며, 국방 분야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도 이미 확정된 상태다.

또한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선정한 PQC 알고리즘(CRYSTALS-KYBER)을 엑스게이트 운영체제(OS)에 적용 중이며, 국내 PQC 알고리즘 4종의 개발도 연내 완료 예정이다.

엑스게이트 측은 “중요 정보를 미리 수집한 뒤 양자컴퓨터로 해독하는 ‘선수집-후해독(Harvest Now, Decrypt Later)’ 위협이 현실화되는 만큼, 불확실성에 대비하는 ‘AX-Quantum’ 보안 패러다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엑스게이트 측에 따르면, 엑스게이트의 SSL VPN 솔루션은 현재까지 단 한 건의 보안 사고 이력도 없는 제품으로 보안성과 확장성, 사용자 편의성을 동시에 갖췄다. 클라우드 인증 연동, 양자보안 연계, 다양한 단말기 지원이 가능하며, 서비스형 VPN 형태 제공도 지원한다.

엑스게이트는 ▲KERIS E-VPN ▲행정안전부 ‘온북’ ▲도로교통공단 교통신호제어기 ▲버스정보시스템(BIS) ▲국방 대테러 등 다수의 공공 사업에서 SSL VPN의 안정성과 기능을 입증했다고 밝혔다.

엑스게이트는 “영업·개발·컨설팅 등 전담 인력을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기술 지원과 함께, 침해사고 대응팀, 인증팀의 정기 점검을 통해 철저한 보안 관리를 이어가고 있다”며 “변화하는 정보기술(IT) 환경에 선제 대응해 최고 수준의 보안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곽중희 기자>god8889@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