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화폐는 스테이블 코인 적용에 최적화된 서비스”
“지역화폐가 스테이블 코인을 적용할 가장 최적의 서비스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지역화폐만큼 사회에 긍정적인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분야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조정일 코나아이 대표는 31일 서울 여의도 한국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교육원에서 열린 ‘스테이블 코인 시연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 대표는 “기존 지역화폐의 한계를 뛰어넘는 진정한 화폐로서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현재 지역화폐는 정부 예산에 의존하는 일회성 상품권에 그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코나아이가 발행하는 스테이블 코인은 투입된 재원이 단순한 보조금이 아닌, 지역경제 선순환을 완성하는 촉매로 작용하는 시스템”이라고 말했다.
코나아이는 이날 시연회에서 공개한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의 핵심이 ‘소비로 투자한다’는 독창적인 경제 모델로 구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기존 스테이블 코인과 차별화되는 코나아이만의 철학이자 메커니즘이라는 설명이다.
구체적으로는 3단계 순환 구조로 작동한다. 먼저, 스테이블 코인 충전을 위해 예치된 법정화폐 준비 자산을 부동산, 사회간접자본(SOC), 국채 등 안정적인 투자처에 운용해 수익을 창출한다.
이후 지역 내 스테이블 코인 소비 증가로 인한 지방세수 증대분의 일부를 추가 재원으로 확보한다. 이렇게 창출된 수익은 스테이블 코인 보유량과 사용 빈도에 따라 이용자들에게 인센티브로 환원돼 재소비를 촉진한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는 결제와 보유를 통해 실물경제 수익을 실시간 환원받고, 소상공인은 매출 증대와 함께 디지털 전환 인센티브 및 금융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지자체는 세수 증대와 지역 활성화, 투명한 정책 데이터 확보 등 다양한 이익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상생 구조가 완성된다.
조 대표는 “기존 지역화폐가 소비자→사업자→정산→폐기되는 일방향 구조”라며 “반면 코나아이의 스테이블 코인은 사업자가 받은 코인을 지역 내 다른 사업자에게 결제 수단으로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개인 간 거래(P2P) 직접 전달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를 통해 지역 내 화폐의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며 “발행량보다 더 많은 유통량을 만들어내는 승수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나아이는 이 같은 무한 순환 구조를 통해 지역경제가 자생력을 갖추고, 중앙정부 예산에 대한 의존도를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날 현장에서는 업계 최초로 선보인 카드 결제 시연도 진행됐다. 특히 기존 카드 단말기를 통한 스테이블 코인 결제 시연은 업계에서 처음으로 이뤄졌다. 일반 지역화폐 카드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테이블 코인 결제가 이뤄진다. 모든 거래 내역은 코나아이가 자체 구축한 블록 익스플로러 ‘코나스캔’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된다.
조 대표는 “코나아이가 지역과 상생하는 협력 비즈니스 모델과 스테이블 코인을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 이 두 가지를 모두 보유하고 있음을 입증했다”며 “지역화폐를 통해 지자체와 쌓은 신뢰를 바탕으로 제도권 내에서 선순환 경제 승수 효과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코나아이는 이번 시연 검증을 바탕으로 오는 4분기부터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