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제2의 티메프 사태 막겠다”…소상공인 셀러 대출 청사진
“우리 세이프(SAFE) 정산 서비스의 다음 목적지는 ‘소상공인 셀러론’입니다. 우리은행은 정산 서비스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기반으로 소상공인을 위한 제1금융권 대출 상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10일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열린 ‘포용적 금융 플랫폼’ 기자설명회에서 최지호 우리은행 플랫폼 사업부 BIZ결제솔루션팀 차장은 이같이 밝혔다.
최 차장은 “판매자는 통상 판매 대금을 60일 후에 정산 받는 계약을 맺지만, 자금 사정상 이를 기다리지 못하고 약 30일 정도에 선정산 서비스를 이용해 대금을 당겨 받는다”며 “이 과정에서 일수 이자 형식의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1금융권이 이를 해결해 주고 싶어도, 기존에는 소상공인이 향후 받을 금액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웠다”며 “SAFE 정산을 통해 정산 데이터를 정확히 확보할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대출 상품 제공도 가능해진다”고 말했다.
우리은행 SAFE 정산 서비스의 핵심은 ‘가공되지 않은 원천 데이터’다. 그동안 선정산 서비스는 많았지만, 은행이 외부 업체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그대로 믿기 어려워 정산 시기나 대금 할인 조건을 유연하게 적용하기 힘들었다. 이 때문에 안정적인 대출 상품으로 연결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우리 SAFE 정산 서비스는 판매 대금이 은행을 거쳐 정산되고, 자금 흐름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출 심사와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우리은행은 지난해 11월 금융위원회에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 겸영을 등록했고, 올해 1월 우리 SAFE 정산 서비스를 출시했다.
해당 서비스는 우리은행이 판매 플랫폼을 대신해 플랫폼 수수료와 판매 대금을 관리, 정산하는 방식이다. 이는 지난해 발생한 티몬·위메프의 대금 정산 지연 사태의 원인으로 지목된 ‘수수료, 정산 대금 미분리’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다.
앞서 정부는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재발 방지를 위해 판매 대금의 별도 관리 등을 권고했지만, 판매 플랫폼이 여전히 정산 주도권을 쥐고 있다. 정산 대금을 외부에 얼마나 예치했는지, 지급 보증이 이뤄졌는지를 플랫폼의 발표에만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최 차장은 “우리은행이 정산 대금을 직접 받아서 플랫폼에는 원래 받아야 하는 판매 대행 수수료를 주고 나머지 판매 대금은 중소기업, 소상공인에게 지급하는 구조”라며 “플랫폼이 부도나더라도 구매 고객과 판매사 모두 피해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SAFE 정산 서비스는 은행이 수수료 없이 운영한다. 기본적인 예금 이자를 통해 소규모의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이는 이익보다는 소상공인 금융 지원 확대를 우선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이날 국회에서는 ‘티메프 사태 1년, 전 정부 대응 문제점과 평가’를 주제로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티몬·위메프로부터 판매 대금을 받지 못한 판매자는 약 5만명, 피해 기업은 총 4만8124개사에 달한다. 미정산 금액은 1조2789억원으로 피해 기업 10곳 중 9곳은 피해액이 1000만원 이하인 영세 업체로 나타났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