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 금융권 최초 ‘금 실물 신탁’ 공개

금은 오랜 기간 동안 안전자산이자 투자자산으로서 인식돼 왔지만, 금 실물 보유자 대부분이 금값 상승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 속에 집안에 보관만 할 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나은행은 신탁 방식을 통해 금 실물 활용법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했다. 금을 통한 경제 활성화 방안을 오랜 기간 모색해 온 하나은행은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과 협약을 맺고, 신탁을 활용해 금 실물을 유동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8일 밝혔다.

금 실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처분해 주는 ‘하나골드신탁’은 하나은행 서초금융센터와 영업1부지점에서 시범 운영 중이다. 시범 점포를 방문해 하나은행과 신탁 계약을 체결하고 금 실물을 맡기면, 한국금거래소디지털에셋이 제공하는 감정 결과를 모바일 웹으로 받아볼 수 있다.

손님은 감정결과를 확인한 후 금 실물의 처분 여부를 결정하게 되며,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통해 합리적인 가격에 처분할 수 있다. 하나은행은 하나골드신탁 서비스를 전 영업점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하나골드신탁은 출시 초기부터 30~50대 직장인뿐만 아니라 시니어층, 고액자산가 등 다양한 연령층과 고객군으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아울러 금 실물 보관과 수익 실현이 동시에 가능한 ‘하나골드신탁(운용)’ 상품 역시 출시 전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실제로 시범 운영 중인 두 곳 영업점에는 하루 평균 약 30건의 상담이 이뤄지고 있다.

오는 8월 출시 예정인 하나골드신탁(운용)은 고객이 보유한 금 실물을 은해에 맡기면 일정 기간 운용 후 만기에 금 실물과 운용 수익을 지급하는 상품이다. 고객은 보유하던 금을 안전하게 은행에 맡겨 분실 및 보관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운용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만기 시 금 실물을 돌려받는 1석 3조의 효과를 누릴 수 있다.

하나은행 신탁부 관계자는 “금융권 최초로 도입한 금 실물 신탁 상품을 통해 고객 경험을 차별화하고, 금 실물의 선순환 구조를 유도함으로써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실물자산과 금융을 연결해 시장을 혁신할 수 있는 맞춤형 신탁 상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하나은행의 ‘금 실물 신탁’ 서비스는 고객이 보유한 금 실물의 시장 순환을 유도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한 결과물이다. 하나은행은 고객에게는 무수익 자산이던 금을 운용해 수익을 제공하고, 자본 시장에는 높은 유동성을 지닌 금 실물의 순환을 원활하게 해 소비 진작과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하나은행 금 실물 신탁 서비스는 금 실물도 운용 가능한 자산이 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의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시도는 신탁의 본질을 깊이 이해하고 풍부한 경험을 보유한 하나은행의 노하우가 있기에 가능했다는 평가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수민 기자>Lsm@byline.network

[무료 웨비나] 아이덴티티 보안 없는 보안 전략은 더 이상 안전할 수 없습니다

◎ 일시 : 2025년 7월 15일 (화) 14:00 ~ 15:30
◎ 장소 : https://bylineplus.com/archives/webinar/53537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