캔바, 챗GPT 비롯한 AI 에이전트에 디자인 플랫폼 연동
올인원 비주얼 커뮤니케이션 플랫폼 캔바(Canva)는 챗GPT를 비롯한 주요 인공지능(AI) 에이전트에 자사의 디자인 기능을 본격 통합해 생성형 AI 기반 디자인을 펼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두 가지 주요 업데이트는 챗GPT 심층 리서치(Deep Research)와의 통합과 캔바 자체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MCP) 서버 출시다. 사용자는 MCP 서버를 통해 하나의 대화 흐름 안에서 아이디어 발상부터 디자인 생성, 콘텐츠 제작까지 모든 과정을 끊김 없이 이어갈 수 있게 됐다.
기업과 크리에이터들이 AI 중심 워크플로우를 점차 채택해 가는 가운데, 캔바는 이번 출시를 통해 ‘AI 네이티브 디자인’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다. 회사에 따르면 마케팅 캠페인 분석, 사업 계획서 초안 작성, 소셜 콘텐츠 제작까지, 탭을 전환하거나 외부 툴을 오갈 필요 없이 챗GPT 내에서 바로 구상하고 디자인하며 퍼블리시할 수 있다.
캔바는 현재 포춘 500대 기업의 95%를 포함해 전 세계 2억4000만명이 사용하고 있다. 이번 챗GPT와 통합으로 창작부터 협업, 커뮤니케이션까지 콘텐츠 제작의 전 여정을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환할 전망이다.
안와르 하니프(Anwar Haneef) 캔바 에코시스템 총괄은 “AI 어시스턴트는 창작 과정에서 없어서는 안 될 파트너가 되었지만, 현재의 워크플로우는 사용자가 직접 업무의 맥락이나 참고 자료를 수동으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남아 있다”며 “캔바는 사람들이 매일 사용하는 AI 툴 안에 캔바를 직접 내장하여 더 빠르게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콘텐츠를 제작하고, 발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번 통합은 복잡한 과정을 단순화하고, 누구나 안전하게 접근해 사용할 수 있는 통합형 AI 워크플로우를 제공하려는 캔바의 비전을 실현하는 중요한 진전”이라고 덧붙였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최가람 기자> ggchoi@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