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냅소프트, 전자공시 AI ‘다트포인트 AI’ MCP 서버 출시

문서 인공지능(AI) 기업 사이냅소프트(대표 전경헌)가 AI 기업정보 분석 플랫폼 ‘다트포인트(DartPoint) AI’에 MCP(Multi-Channel Protocol) 서버 기능을 출시했다고 26일 발표했다.

사이냅소프트에 따르면 다트포인트 AI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된 기업 정보를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하는 서비스다. 주식 투자, 기업 분석, 취업 준비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사이냅소프트는 이번 MCP 서버 출시로 클로드나 커서 AI 등 대규모언어모델(LLM) 서비스에서 정제 가공된 기업 분석 정보를 바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사이냅소프트는 MCP 서버가 다트포인트 AI의 정제된 기업 정보 다양한 AI 서비스와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평소 주로 사용하던 LLM 서비스에서 “L전자와 S전자 최근 3년 매출 추이 분석해 비교해 줘”라고 요청하면, 실시간으로 분석 보고서를 자동 생성한다. 이밖에 다트포인트 AI에 있는 양사의 기업 개황, 재무 건전성, 재무제표, 경쟁 정보 등을 바탕으로 분석 보고서를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사는 기업 데이터를 찾아 분석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자동화를 통해 기업 정보가 필요한 애널리스트를 비롯해 투자 및 기업 분석 업무의 효율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했다.

MCP 서버의 자세한 소개와 사용법은 깃허브(GitHub)에 공개돼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또 해외 MCP 마켓플레이스 ‘Glama.ai’, ‘lobechat.com’에 등록돼 더 많은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현재 클로드, 커서 AI 등 MCP를 하는 LLM 서비스에서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사이냅소프트는 MCP 서버 출시와 함께 ‘다트포인트 AI’에 마이페이지 기능을 새롭게 추가했다. 마이페이지를 통해 관심 기업과 대화, 활동 이력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개인화된 환경에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여러 기업을 한 번에 비교 분석하는 기능으로 의사결정을 돕는다.

전경헌 사이냅소프트 대표는 “AI가 일상화되는 시대에 맞춰 사용자들이 더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기업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했다”며 “다트포인트 AI의 신뢰성 높은 공시 데이터와 AI 기술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경험을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최가람 기자> ggchoi@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