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추론 모델 ‘하이퍼클로바 X 씽크’ 공개…추후 오픈소스 제공

네이버가 30일 추론 능력을 강화한 생성형 AI ‘HyperCLOVA X THINK(하이퍼클로바X 씽크)’ 개발 완료 후 모델의 설계와 성능 등 세부 정보를 소개하는 테크니컬 리포트를 발표했다.

네이버는 한국어 능력에서 최고점을 받고 시각 정보 바탕 추론까지 가능한 해당 모델을 추후 오픈소스화한다는 계획이다.

추론 모델은 ‘생각하는 힘’이 강화된 AI로, 사용자가 질의를 입력하면 모델이 길게 생각하며 답변 계획을 수립한다. 이 과정에서 이 과정에서 복잡한 문제를 작은 단위로 나누는 능력, 적절한 도구나 함수를 선택하는 능력, 실수를 반추하고 교정하는 능력이 발현되며 생성 정보의 정확도와 유용성이 향상된다. 네이버 측은 추론 모델이 AI 에이전트의 핵심 기술로도 주목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하이퍼클로바 X 씽크는 한국어 능력 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네이버에 따르면 ‘KoBALT-700’ 벤치 마크로 주요 LLM의 언어 능력을 평가한 결과, 하이퍼클로바 X 씽크는 유사 규모로 구축된 국내 주요 추론모델 및 글로벌 최고 수준 오픈소스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해당 벤치마크는 서울대학교 언어학과에서 LLM의 깊이 있는 한국어 이해도를 진단하기 위해 설계됐으며, AI가 대화의 격률을 적절하게 파악하는지, 문장의 논항 구조를 정확히 분석하는지 등을 평가하는 전문가 수준의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 다른 한국어 성능 평가 지표인 ‘HAERAE-Bench’에서도 추론 모델을 포함한 국내외 주요 오픈소스 모델보다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 X 씽크를 통해 언어뿐만 아니라 시각 정보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는 기술도 확보했다. 테크니컬 리포트에 따르면 하이퍼클로바 X 씽크는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문제를 이미지 형식으로 입력했을 때 이를 인식하고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 정답을 맞히는 모습을 보였다.

HyperCLOVA X THINK 성능 평가를 담당한 네이버클라우드 유강민 리더는 “이번 추론모델은 멀티모달 추론을 겨냥해 만든 것이 아님에도 시각 추론 영역에서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됐다.”며 “이미 하이퍼클로바X 기반의 이미지, 영상, 음성 멀티모달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므로, 향후 보다 강력한 멀티모달 추론 능력을 갖춘 모델로 고도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추론모델을 오픈소스로도 공개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경쟁력 있는 한국어 추론모델을 바탕으로 한국 AI 기술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가 지난 4월 공개한 오픈소스 경량모델 ‘HyperCLOVA X SEED’는 한 달여 만에 50만 다운로드를 넘어섰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하이퍼클로바X를 ‘지능의 향상’과 ‘감각의 확장’의 두 가지 축으로 고도화하고 있으며, 이번 HyperCLOVA X THINK를 통해 지능 측면에서 상당한 발전이 이뤄졌다.”며 “급변하는 AI 흐름 속에서 글로벌 선두권 그룹의 기술을 지속적으로 갖춰가고 있으며, 기술 패러다임에 발맞추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실질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아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바이라인네트워크
<성아인 기자> aing8@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e reCAPTCHA verification period has expired. Please reload the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