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마블 ‘세븐나이츠’ 무한도전 통했네
2014년 원작 리메이크 ‘세븐나이츠 리버스’ 흥행
10년 전통 수집형 게임, 새 전성기 맞아
전략성 끌어올리고 ‘쫄작’ 등 편의기능 대폭 강화
넷마블이 지난 15일 국내 시장에 선보인 신작 수집형 RPG ‘세븐나이츠 리버스’가 초반 흥행을 기록 중이다. 출시 7시간만에 앱스토어 매출 1위 달성에 이어 5일만에 양대 앱마켓 매출 1위를 달성했다.
2014년 원작 ‘세븐나이츠’의 리메이크작인 이번 게임은 원작의 감성과 게임성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올드팬 뿐만 아니라 신규 이용자에게도 호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넷마블은 ‘세븐나이츠 리버스’에 대해 10년 넘게 사랑받아온 원작의 정수를 계승하면서도 한층 더 정교해진 전략성과 편의성을 갖췄다고 자신했다. 각종 전투 콘텐츠에서 요구되는 전략적 판단의 묘미가 이 게임의 핵심이다.
팀 편성에서부터 각 영웅이 지닌 스킬과 역할, 다양한 효과를 어떻게 조합하느냐에 따라 전투의 양상이 크게 달라진다. 다수의 적이 등장하는 모험 콘텐츠에서는 광역 스킬을 가진 영웅을 중심으로 팀을 꾸리는 것이 빠른 스테이지 돌파의 핵심이다.
레이드(단체전투)나 성장 던전처럼 강력한 단일 보스를 상대할 때는 단일 타겟 딜러와 회복을 담당하는 서포터의 조합이 필수적이다. 콘텐츠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조합을 고민하고 전략적으로 영웅을 배치하는 과정을 스트레스 없이 재미있게 느낄 수 있도록 편의성을 끌어올렸다.
이를 위해 턴제 전투의 골격을 유지하면서도 공격 순서와 스킬 사용 타이밍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환경(UI)을 개선했다. 스킬 연출과 기본 공격 배분, 턴 소모의 효율성 등 세밀한 조정이 가능해지면서 전략과 함께 손맛 역시 동시에 잡았다는 평가다.
원작의 대표 시스템 ‘쫄작’은 자동화 및 효율성 극대화를 통해 이용자가 보다 전략적으로 자원을 운용할 수 있다. 쫄작은 일정 레벨에 이르면 주어지는 루비 등 재화 수급을 위해 이용자들이 저레벨 영웅들을 키우는 이른바 노가다 육성 행위다. 돈이 들어가는 타 게임 대비 적당한 시간만 들여도 재화 수급이 쉬워 각광받은 운용 방식이다.

눈길을 끄는 점은 이용자들 사이 유행을 회사가 받아들여 자동 진행할 수 있도록 정식 기능을 적용했다는 것이다. 이용자들이 원하는 영웅을 집중적으로 성장시키거나 다양한 영웅을 고르게 육성해 각종 콘텐츠에 맞는 팀을 빠르게 꾸릴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 오프라인 자동 전투와 콘텐츠 동시진행까지 가능해져 편의성 측면에선 대단히 공을 들인 점도 엿보인다.
레이드와 무한의 탑 등 콘텐츠에서는 각 보스의 패턴과 특성에 맞춘 영웅 조합, 면역, 해제, 생존기 활용 등 세밀한 공략이 요구된다. 이용자들 사이에선 다양한 덱 구성과 전략을 연구하며 공략 팁이 공유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마왕’ 레이드에서는 스택 소모 타이밍과 디버프(능력치 약화) 관리가 핵심이며 ‘강철의 포식자’ 레이드에서는 마법 딜러와 마비 면역 영웅의 조합이 승패를 가른다. 한정된 자원으로 어떤 영웅을 우선 성장시킬지, 어떤 장비를 파밍할지에 대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관련 커뮤니티에선 ‘쫄작을 편하게 즐길 수 있어 한층 재밌다’, ‘장비 파밍하려고 파멸던전 7단계 돌파했는데 조금씩 배워가며 성장하는 재미가 있다’ 등의 반응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진행된 크래프트박스 제휴 이벤트는 예상보다 참여자가 몰려 이벤트가 조기 종료됐다고 회사 측은 전했다.
넷마블은 “게임의 이러한 전략적 재미가 유지될 수 있도록 영웅별 밸런스, 쫄작 밸런스 조정 등 이용자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해나가며 업데이트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대호 기자>ldhdd@byline.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