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IA, AI 보안 협의체 발족 “AI 산업 발전 핵심 인프라는 보안”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회장 조영철)는 정보보호 산업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한 AI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21일 AI 보안 협의체 발족식 및 제1차 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AI 보안 협의체는 글로벌 AI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AI 산업 발전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써의 정보보호산업의 중요성 증가 등 신뢰와 안전을 성장의 핵심자산으로 인식하는 공감대 속에서 발족했다.

발족식에는 윤두식 의장(이로운앤컴퍼니 대표), 김명주 소장(인공지능안전연구소), 염재호 부위원장(국가인공지능위원회) 등 산·학·연 관계자 25명 내외가 참석했으며, 동시 개최된 제1차 협의회는 전문가 발제 및 토론으로 진행됐다.

제1차 협의회의 첫 번째 발제는 ‘주요국 AI 거버넌스 동향’이라는 주제로 염재호 부위원장이 발표했으며, 이어 김명주 소장이 ‘안전한 AI 개발·활용을 위한 AI안전연구소의 비전 및 핵심과제’를 발제했다.

이후 자유토론 세션에서는 ‘AI 산업 발전을 위한 정보보호 산업계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산·학·연 전문가들이 다각적인 시각에서 심도 깊은 논의가 이어졌다.

AI 보안 협의체 윤두식 의장은 “AI 보안 협의체는 AI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보안’이라는 든든한 기반을 함께 고민하고, 관련 과제 및 프로젝트를 발굴하는 기구로 자리매김 할 것”이라며 “협의체를 통해 다양한 AI 보안 연계 과제들이 도출될 수 있도록 많은 보안 전문가들의 지혜와 역량을 모아나가겠다”고 밝혔다.

AI 산업이 국가의 미래를 이끌 핵심 산업이자 미래먹거리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정보보호가 뒷받침되지 않는 AI는 오히려 위협이 될 수 있는 만큼, AI 산업과 정보보호 산업은 동반 성장이 요구된다. AI 보안 협의체는 향후 정례 회의와 실무 그룹을 운영하며 AI 보안 기술 연구, AI 안전성·보안성 테스트 참여, AI보안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한 산업현장 중심의 불필요한 AI 규제 개선을 제안하고, 공동의 실증 과제를 지속 발굴하며,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한 AI보안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조영철 KISIA 회장은 “AI 보안 협의체가 AI와 정보보호가 조화를 이루는 생태계를 만드는 실질적인 논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며, “우리나라가 AI 강국으로 성장하는 여정에 AI 보안 협의체가 구심점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글. 바이라인네트워크
<이유지 기자>yjlee@byline.network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